반응형 영상 리뷰/공부·교육 영상 리뷰126 목에 칼이 들어와도 자랑하면 안되는 것 5가지 (ft. 지혜의 동행) 자랑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진 인정 욕구의 발현입니다. 과하면 흉하지만 적당한 수준의 상호 인정 품앗이는 사회적 윤활유로 기능합니다. 하지만 하면 할수록 손해 보는 자랑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남에게 절대 하면 안 되는 자랑 다섯 가지에 관해 이야기 나눠 보고자 합니다. 오늘 이야기 끝까지 들으시면서 '나도 이런 적이 있었나' 하고 한번 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이 다섯 가지를 알아보기 전에 여러분께 한 가지 여쭤보고 싶은 게 있습니다. 여러분은 재벌이나 TV에 나오는 연예인들이 자랑할 때 질투가 나시나요? 예를 들어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님이 한 달에 약 6억을 번다고 TV에 나와서 이야기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대부분은 질투를 느끼지 않으시죠. 왜냐하면 우리와는 너무 다른 세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하.. 2024. 11. 29. 메타분석 논문 쓰기 (ft. 논준모연구소) 양적연구/질적연구 나뉜다. 메타분석이라고 하면 대부분은 양적연구를 떠올린다. 메타분석은 의학에서 시작된 것이다.(영상 링크) 장점: 이제껏 나온 실험결과들을 가지고 종합적인 결과를 해석하거나 마무리하고 싶을 때 메타분석 하는 경우들이 자연계열에서 많이 있다. 사회과학계열에서도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 많이 하다보니까 결과값들이 많이 나온다. 그런 것들을 한방에 정리하고 싶을 때 메타분석에서는 이걸 ‘평균효과 크기’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열심히 차려놓은 밥상에다가 숟가락 하나 얹어서 끝장낸다는 느낌이 있다. 내가 데이터 얻으려면 실험하거나 설문조사 하거나 패널데이터를 조사해서 통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솔직히 분석은 금방 되지만 데이터를 모으는 게 쉽지가 않다. 그럴 경우, 이미 고생을 해서 분.. 2024. 10. 20. 논문 읽을 때 이거 딱 한 줄만 보면 된다 (ft. 사피엔스 스튜디오, 김경일 교수) 사실 논문 한 편 읽으면 한 줄 건진다. 근데 그 한 줄을 끝까지 가져갈 수 있다. 책도 중요한데 논문 한 편을 읽고 낸 결론 혹은 느낌은 평생 가져갈 수 있다. (영상 링크) 논문과 논문을 비교해야만 어느 상황에서 A가 맞고 어느 상황에서 B가 맞는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A. 리더는 고독하다. 혼자서 가라.B. 리더는 화합이 중요하다. 구성원의 이야기를 들어라. 언제 A가 맞고 언제 B가 맞는지는 논문을 보면 알 수 있다. 언제 리더가 혼자 결정 내렸을 때 맞았는지, 언제 리더가 구성원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결과가 좋았는지! 위기의 절체절명의 순간에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 가는 게 나은 것처럼 결론이 나온다. 그런데 일반적인 상황이나 훨씬 더 긴 기간동안 무언가 시간이 남았을 땐 다 들어.. 2024. 10. 20. 놀 거 다 놀면서 시험 잘 보는 상민이 공부법 (ft. 김예지 약사) 영지는 아침 6시에 일어나서 쭉 공부하고 집에 와서 자기 전까지 공부를 하다가 잠에 듭니다. 반면에 상민이는 8시쯤 느즈막히 일어나서 쭉 공부하고 집에 와서 TV를 보다가 잠에 듭니다. 과연 영지가 상민이보다 시험을 잘 볼까요? 제 경험상 아니었습니다.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이론적으로 영지가 공부를 많이 하니까 시험을 더 잘 봐야 됩니다. 그런데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닌 거 같습니다. (김예지 약사 유튜브 링크) 지금 새로운 마음으로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시행착오 한 번을 줄이고 시작해 봅시다. 저는 딱 한 개만 말씀드릴 거예요. 바로 공부를 많이 하지 말아라! 여기서 ‘많이’라는 것은 두 가지로 나눠볼 수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공부량, 그다음에 공부 시간입니다. 둘 중에어떤 것.. 2024. 9. 19. 저처럼 삼수하기 싫으면 보세요 (ft. 김예지 약사) 진짜 이것만 내가 미리 알았어도 삼수는 안 했을 텐데... 혹시 목표가 전국 1등이에요? 수능 만점자가 목표예요? 우리같이 평범한 사람들이 10년 전으로 돌아가서 과거의 나 자신한테 5분 정도 대화할 기회가 주어졌다면 여러분들은 어떤 말을 해 주고 싶으신가요? 엔비디아 사라, 코인 사라 다 좋은데요. 저는 저한테 뛰어가서 이 세 가지는 제발 좀 하지 말라고 말해 줄 것 같습니다. 진짜 이것만 내가 미리 알았어도 삼수는 안 했을 텐데... (김예지 약사 유튜브 링크) 안녕하세요? 김예지 약사입니다. 저는 수능에서 가장 잘 본 등급이 3등급이었어요. 그리고 처음 들어보는 대학에 다녔습니다. 하지만 약사가 되고 싶었어요. 그래서 약대 공부를 시작했는데요. 당연히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공부를 다시 또 재수.. 2024. 9. 19. 32살, 수학 7등급에서 경희대 한의대 정시 합격할 수 있었던 기적의 공부법 안녕하세요 한의대 정선배입니다. 오늘은 제가 문과로 경희대 한의대에 입학할 때까지 정말 큰 도움을 줬던 공부법을 여러분들께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21학년도, 22학년도, 23학년도, 24학년도 이렇게 총 네 번의 수능을 봤고요. 처음 세 번은 이과로, 나머지 맨 마지막 한 번은 문과로 시험을 봤습니다. 사실 다시 수능을 보겠다고 가벼운 마음으로 보러 갔던 21학년도 수능에서 수학이 7등급이 뜨면서 굉장히 많이 당황을 했던 기억이 나요. 그래도 나름 현역 때 수학을 꽤 좋아하고 잘하는 편이었는데 공식도 하나도 기억이 안 나고 2점 문제랑 쉬운 3점 문제 정도밖에 손을 못 대겠더라고요. 이때 느꼈죠. 아 내가 수능을 너무 만만하게 봤구나. 그래서 그다음부터는 인강 패스도 끊고 각잡고 진짜 열심히 했.. 2024. 9. 3. 이건 진짜 미쳤습니다. 하버드 법대식 수능 공부법! (ft. 수능 이코치) 100점을 맞기 위해서 우리가 방대한 양의 분량을 공부를 해야 된다고 친다면 이거 언제 다 하나? 이걸 다 공부하는 게 힘드니까 어떻게 했느냐면, 미국의 랭델 교수라는 사람이 있거든. 그 사람이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라는 거를 창안한 거예요. 수만 페이지 다 공부할 필요 없이 한 과목당 케이스 50개만 뽑아라. 그리고 거기에 해당되는 개념만 모조리 공부해라. 그러면 미국에서 변호사 할 수 있다. 케이스케이스 몇 개만 집어서 그것만 제대로 공부를 하면은 수능도 무조건 됩니다. 지금 D-100인데 이 얘기 들으면 솔깃하면서도 긴가민가 하잖아. 왜 긴가민가 하느냐? 왜 의심이 드느냐? 이거야. 점수가 대부분 시간에 따라 완만하게 상승할 걸로 예상하지만 그런 건 착각이야. 있을 수가 없어. .. 2024. 9. 2. 이렇게 하면 초등학생도 3시간 집중합니다 (ft. 김예지 약사) 혹시 나는 ADHD인가 하고 병원 앞까지 갔던 경험이 있어요. 하지만 이제는 한 자리에 앉아서 잡생각 없이 두세시간 정도는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끄러운 사실 하나 고백하고 시작할게요. 저는 수능에서 가장 잘 본 등급이 3등급이었어요. 처음 들어보는 대학에 다녔었어요. 하지만 제 꿈은 약사가 되는 거였어요. 그래서 결국 삼수를 했습니다. 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해서 약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할 수 있었어요. 제 문제점은 공부할 때 잡생각이 너무 많다는 거였습니다. 1시간짜리 수업에도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습니다. 수업을 듣다가 여기서 지진 나면 어떡하지, 갑자기 연예인이 들어와 가지고, 이경규 아저씨가 들어와서 몰카였습니다 하면 난 뭐라고 반응하지 뭐 이런 잡생각들을 굉장히 많이 했어.. 2024. 8. 26. 집에서 원어민처럼 말할 수 있는 3가지 영어 공부법 (ft. 아트아트 ArtArt) 출처: 아트아트 유튜브 영상 나는 말 그대로 생존을 위해 영어를 배웠다. 내가 어릴 때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가고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학교에서 많이 싸워야 했다. 그러기 전에 한국 사람들은 왜 그렇게 영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지 알고 싶다. 그래서 영어를 배우고 있는 내 친구에게 물어보기로 했다. 친구가 영어를 배우는 이유: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멋있어서 였다. 난 영어를 배우는 게 멋지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그래서 한국에서 영어하는 걸 멋지게 생각하는 게 충격이었다. 그게 이해는 안 되지만 승준이(여자친구)가 잘 설명해줬다. 식스팩이 생기는 것처럼 꼭 그럴 필요는 없지만 있으면 멋진 것! 그러니까 좀 이해가 된다. 내 영어 공부 환경이 달랐던 이유는 생존했어야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학교.. 2024. 4. 22. 이전 1 2 3 4 ··· 1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