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공부·교육 영상 리뷰

메타분석 논문 쓰기 (ft. 논준모연구소)

by W.H. 2024. 10. 20.
반응형

양적연구/질적연구 나뉜다. 메타분석이라고 하면 대부분은 양적연구를 떠올린다. 메타분석은 의학에서 시작된 것이다.

(영상 링크)

 

 

장점: 이제껏 나온 실험결과들을 가지고 종합적인 결과를 해석하거나 마무리하고 싶을 때 메타분석 하는 경우들이 자연계열에서 많이 있다.

 

 

사회과학계열에서도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 많이 하다보니까 결과값들이 많이 나온다. 그런 것들을 한방에 정리하고 싶을 때 메타분석에서는 이걸 평균효과 크기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열심히 차려놓은 밥상에다가 숟가락 하나 얹어서 끝장낸다는 느낌이 있다.

 

 

내가 데이터 얻으려면 실험하거나 설문조사 하거나 패널데이터를 조사해서 통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솔직히 분석은 금방 되지만 데이터를 모으는 게 쉽지가 않다. 그럴 경우, 이미 고생을 해서 분석을 마친 선행연구들을 찾아서 내가 그 결과값들만 모아서 한방에 정리, 종합하는 연구를 해보자고 결정하신다면 나름대로 가성비 있는 연구를 할 수도 있다.

 

 

나때는 메타분석 공식들을 싸그리 외워서 엑셀함수 이용해서 분석했다. 그러다 R언어에서 메타분석할 수 있는 패키지(Meta)가 있어서 메타분석을 했었다. 근데 이게 발전되더니 이제 Jamovi에 기능이 다 들어왔다. Jamovi 활용해서 메타분석 하면 분석도 쉽고 해석이 자동으로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