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디심리연구소의 영상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담예시
내담자: 바라는 게 있는데 되지 않아서 속상해요.
상담자: 어떤 건가요?
내담자: 사람들이 제 채널을 좋댓구알 해주지 않아요.
상담자: 그렇군요. 그것과 관련해서 어떤 행동을 하고 있나요?
내담자: 늘지 않는 조회수를 보면서 속상해 하고 있어요.
상담자: 그게 구독자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될까요?
내담자: 아뇨. 열심히 노력해야죠. 좋은 컨텐츠나 질 좋은 정보를 재밌게 만들어야 할 것 같아요.
상담자: 그러면 그걸 위한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워 보도록 합시다.
상담자: 저번에 세웠던 계획대로 잘 했나요?
내담자: 잘 안 됐어요. 친구 생일이 있었거든요. 알딸딸하기도 하고 어차피 올려봤자 조회수가 그냥 고만고만해서 잠깐 쉰다는게 마냥 쉬게 되고...
상담자: 오늘은 잘 하셨나요?
내담자: 컴퓨터가 고장이 나가지고...
내담자: 제가 하고 있는 컨텐츠가 잘 하고 있는 건지 의문이 들어서
..
현실치료상담은 처벌하지 않지만 변명도 들어주지 않는다. 계획 세운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계속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하게 수정, 보완해 나갈 뿐이다. 내담자를 포기하지 않고 내담자의 행동 변화를 응원한다.
현실치료상담의 대가: 백종원 선생님(포방터시장 홍탁좌 에피소트 참고)
- 직면, 계획 세우기, 유머, 변명 안 들어주기, 처벌 안 하고 결국 행동 개선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 짜주기와 같은 것들이 다 들어있다.
현실치료상담의 공헌점
- 청소년에게 적합; 현실치료는 개인의 욕구를 명확하게 만들고 행동 변화를 이끌기 때문에 청소년에게 특히 잘 맞다. 교정기관이나 학생 상담에서 매우 적절한 기법이다.
- 개인의 주인의식 강조; 개인의 책임(주인의식)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비겁한 남탓쟁이가 되도록 하지 않고 문제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는 주인의식을 키워주는 상담이다.
- 변화를 확인하기 쉬움; 행동의 변화가 척도이기 때문에 비교적 관찰하기 쉽다. 즉, 성과의 정도가 눈에 보인다.
- 상담회기가 비교적 짧다.
현실치료상담의 한계점
- 과거를 지나치게 무시; 글래서는 프로이트를 싫어했다. 과거 탓하느라 개인의 성장이 없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도 글래서를 좋아하지 않았을 것이다. 현실치료상담은 과거를 지나치게 무시한다.
- 스스로 책임을 못 지는 이들에게도 책임을 지나치게 강조함; 글래서는 정신병이라는 개념이 없다고 얘기했다. 정신병이란 ‘자기 자신을 책임지지 않는 무책임함이 만들어낸 허구의 개념’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자기 자신을 책임지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병원에도 있고 어린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책임을 질 수 없는 부분까지 책임을 강요한다는 비판도 있다.
- 상담자의 개입 정도가 큼; 상담자가 제시하는 해결책을 내담자가 그대로 받아들이고 시행하기 때문에 내담자의 자주적인 성장을 자칫 방해할 수도 있다.
자기계발에 매우 좋은 상담기법이기 때문에 상담실에서뿐 아니라, 스스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실행해보기도 좋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aaIkKUmMZyk&list=PLArdL8v7vp1OxBSdjxfrhzVhgaF0wI7q2&index=4
'영상 리뷰 > 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 (ft.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0) | 2023.05.02 |
---|---|
윌리엄 글래서, 당신이 몰랐던 18가지 사실 (ft.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0) | 2023.05.02 |
현실치료상담의 상담기법(RWDEP, 기적질문)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5.01 |
현실치료상담의 주요 개념(선택이론, 질적세계)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4.26 |
현실치료상담의 인간관, 심리적 문제 발생 이유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