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 (ft.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by W.H. 2023. 5. 2.
반응형

정신분석상담은 시대를 거듭하며 학파가 다양해짐. 어떤 것에 중심 두느냐에 따라 다발적 진화

 

반디심리연구소-형아쌤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상담 (원조)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 ‘성적 본능’, ‘성격 구조’, ‘생후 6

- 성적 본능: 사람을 매우 원초적인 동물로 봄. 인간의 모든 행동, 사고, 감정이 무의식적 성적 본능과 공격적 본능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공격적 본능은 프로이트가 말기에 추가 도입한 개념.

- 성격 구조: Id(원초아), Ego(자아), Super-ego(초자아)의 끊임없는 갈등 구조

- 생후 6: 프로이트 피셜, 인간의 기본적 성격 구조가 형성되는 시기. 인간은 생후 6년의 기억을 바탕으로 완성되는 결정론적 존재! (6살 버릇이 평생 간다.)

 

상담의 진행

- 성적 본능을 다뤄야 하므로 매우 자연스러운, 거부감 없는 환경 조성 필요

- 상담자가 큰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상담가는 내담자를 비춰줄 수 있는 온전한 거울로서 반응한다.

- 현재란 과거의 축적물일 뿐. 상담을 통해 내담자는 과거를 변화시켜야 한다. 특히 과거 아동기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그런데 6살 이전의 기억은 잘 안 떠오른다. 이걸 어떻게 재구성 하느냐?

 

반응형

 

 

상담을 위한 전략

- 기억나지 않더라도 그 사람의 무의식적인 사고, 행동, 감정이 그 사람을 장악하고 있다고 본다. (모든 행동은 무의식에서 비롯된다.)

- 무의식을 다루고 의식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한다. (무의식을 통해 6세 이전의 과거를 떠올린다.)

- 자유연상법(제한 없이 떠오르는대로 이야기), 꿈 해석(꿈으로 꾼 것을 해석), 최초 기억(가장 최초로 떠오른, 강렬하게 뇌리에 박혀있는 기억) 등을 중심으로 둔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5q8c5F1w4fA&list=PLArdL8v7vp1NdK1to3D4WK2qfWcFixcyZ 

반디심리연구소 영상 - 정신분석상담 인간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