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프로이트 정신분석상담의 상담목표와 상담과정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5. 3.
반응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상담의 상담목표와 상담과정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상담의 2가지 목표

- 무의식의 의식화

- 자아의 강화

 

반디심리연구소-형아쌤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무의식의 의식화

정신분석상담은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을 통해서 개인의 성격 구조를 파악하고 수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행동, 생각, 감정, 실수까지도 무의식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나는 그것을 다 밝혀내고 파헤치고 해석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의식화를 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자아강화

 

자아의 강화

- 나를 불안하게 했던 무의식이 의식화되었으니 더 이상 심리적 긴장과 불안, 억압을 느낄 필요가 없어짐. 내담자의 자아가 강화되어 성격을 건강한 방향으로 수정함.

 

반응형

 

 

정신분석 상담의 4단계

1. 신뢰관계 형성: 상담사는 내담자의 어떠한 감정, 동기, 사고도 비판하지 않고 수용, 이해함으로써 내담자를 상담자에게 의존하게 함. (상담자는 내담자의 거울과 같은 역할)

2. 전이: 내담자가 어릴 때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가졌던 유아기적 욕구와 감정을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반복하려고 하는 단계. 못 채웠던 욕구를 상담사로 채우려고 하기 때문에 상담자에게 있어서도 매우 힘든 단계지만 그 욕구를 끈기있게 포용하고 존중해줘야 한다. 다만, 그 욕구는 존중하되, 그 욕구가 상담자가 아니라 과거에 중요했던 그 사람을 향한 욕구라는 것을 확실하게 해석시켜 주고 주지시켜 주면서 그 사람의 욕구를 좌절시키는 것까지가 상담사의 역할!

ex. 상담관계가 끈끈해져서 상담할 때마다 선물 주려고 하는 내담자가 있을 수 있다. 선물을 주는 그 마음은 너무 고맙지만 매번 선물을 주는 행위를 통해 어떤 욕구를 충족하고 싶은지를 묻고 해석해준다. 그러고나서 선물을 받지 않음으로써 그 사람의 욕구를 좌절(전이 좌절)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3. 통찰: 전이 좌절이 계속되면 내담자는 상담사한테 좌절감, 불쾌함을 느끼게 된다. 이런 적대감을 내담자가 상담사에게 표시하면 (표시했다는 건 상담사에게 원하고 있었던 사랑, 의존욕구가 드러난 것) 상담사는 내담자의 숨은 동기를 파악할 수 있다. 동시에 내담자는 선물로 인정받고 싶었던 일은 과거 부모님에게 상장, 장학금을 타주었을 때만 인정을 받았던 나의 좌절욕구 때문이구나, 인정욕구 좌절 때문이구나라고 자기 자신을 깨닫는 단계가 통찰 단계이다. , 상담사에게 했던 전이 행동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을 깨닫고 의식화해가는 단계이다.

4. 훈습: 통찰함으로써 알아챈 것을 현실세계에서 어떻게 해나갈 것인지 응용하는 과정. , 상담하며 강해진 자아를 통해 현실에 적응하며 실천해가는 단계.

 

정신분석 상담과정 요약

상담사: 상담 시작할게요. 저는 당신의 거울이에요. 어떤 말이든 해주세요.

내담자: 저를 지지해주시는군요. 마치 저의 거울같아요. 너의 의존됩니다.

상담사: (끄덕끄덕)

내담자: 이거 해주세요.

상담사: 그건 당신의 전이감정입니다. 과거 부모와의 관계에서 이런 욕구 혹시 없었나요?

내담자: 맞아요. 이건 제 무의식이었군요.

상담사: 네 그렇습니다.

내담자: 이거 해주세요.

상담사: 그건 당신의 전이감정입니다.

내담자: 이거 해주세요.

상담사: 그건 당신의 전이감정입니다.

상담사: 자 이제 현실에선 어떻게 하실 건가요?

내담자: 제 무의식이 의식화가 되었으니까 건강한 성격으로 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신분석 상담과정에서 딱 기억할 것 3가지

- 무의식의 의식화

- ‘전이-해석-전이좌절로 이어지는 단계

- 마지막 훈습 과정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V9Gs4cyhZ3I&list=PLArdL8v7vp1NdK1to3D4WK2qfWcFixcyZ&index=3 

반디심리연구소 영상 - 정신분석상담 상담목표, 상담과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