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윌리엄 글래서, 당신이 몰랐던 18가지 사실 (ft.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by W.H. 2023. 5. 2.
반응형

현실주의상담(현실치료)의 창시자 윌리엄 글래서에 대해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이 다룬 영상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반디심리연구소-메인이미지
반디심리연구소 이미지

 

: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Cengage Learning)

청소년 상담에서 인간중심상담보다 유용하게 쓰이는 대표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윌리엄 글래서의 현실치료이론

 

반응형

 

 

 

윌리엄 글래서는 누구인가

 

- 1925년 미국 출생 (아버지: 폭력적, 어머니: 통제 심함)

- 어린 나이때부터 부모님처럼 살지 말아야지

- 글래서의 인생 목표: 타인에게 폐 끼치지 않기 + 부부관계 원만히 하기

- 이를 위해 개인의 책임 강조

- 책임감 없이 남탓으로 일관했던 부모님에 대한 반감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음.

- 이과 출신. 공업전문학교 졸업 후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되었고 이후에 임상심리학 석사학위 취득 (이과+문과 감성 두루 갖춤)

- 정신분석 좋아하지 않았음. 과거에서 이유 찾아 부모 탓을 하게 하는 책임전가식 상담이라고 비판할 정도.

- 11년간 비행 청소년 400여명을 수용하고 있는 여학생 전용 교정기관에서 정신과 의사로 근무했는데 이 아이들에게는 정신분석적 접근이 효과적이지 않았다. 비행문제 대부분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의식이 부족하고 자기 욕구를 제대로 충족하지 못해서 일어났기 때문.

-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신의 진정한 욕구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인식시키고 그 행동에 대한 책임의식을 키우는 접근을 통해 약 80%의 치료 성공률을 보임.

- 첫 번째 아내와 사별

- 두 번째 아내를 만났을 때 서로의 욕구를 세심하게 확인하고 조화롭게 지낼 수 있을 거라는 결론을 내린 후에야 결혼을 결심했다고 한다.

- 본인이 정신과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문제를 뇌의 문제로 여기며 정신장애로 진단하고 약물을 처방하는 전통적 방식에 대해 경고했다.

- 대부분의 심리적 문제는 뇌의 문제가 아니라 잘못된 선택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았다.

 

- 현실치료 발전과정을 세 단계로 나눔 (글래서에게 영향을 준 인물 만나면서 발전함)

1) George Harrington 만나며 현실치료 개발: 정신분석, 약물치료에 회의 느낀 두 사람은 지도교수의 격려 하에 새로운 치료법 고안. 다른 동료는 너무 현실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는데 거기에 착안해서 현실치료라고 명명

2) William Powers의 통제이론 접하면서 발달: 첫 단계가 기법의 발전이었다면 이 단계에서 이론적 기반 다지고 선택이론으로 발전시킴. 정서, 사고, 행동을 개인이 선택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 삶의 질도 달라진다는 것.

3) Edwards Deming의 영향으로 치료이론 정교화: Deming은 통계적 품질관리를 연구했던 미국의 통계학자, 경영학 교수. Deming은 품질 개선을 위해 기업이 해야하는 효과적인 운영 원칙을 4단계의 순환과정으로 제시. GlasserDeming의 경영방식을 현실치료 이론에 접목하며 내담자가 더욱 혁신적으로 자기 변화를 할 수 있도록 함.

 

 

 

 

- 2000년대 이후에도 다양한 논문 발표, 2013823일에 타계

- 매우 현실적이기에 치료에 대한 동기가 부족하거나 저항이 심한 내담자를 상담하기에 아주 효과적인 현실치료상담.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에 비행청소년의 학부모 입장에서 매우 만족할만한 이론 정립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y_IhzYSv5uQ&list=PLArdL8v7vp1OxBSdjxfrhzVhgaF0wI7q2&index=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