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치료상담의 핵심이론인 선택이론: 왜,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인간의 동기와 행동에 관한 이론. 인간의 모든 행동이 기본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인간의 기본 욕구
- 심리적 4욕구(사랑, 소속, 힘, 자유, 즐거움)
- 생리적 1욕구(생존)
욕구를 선택하고 채울 수 있는 건 ‘나 자신’뿐! 타인을 조종해서 욕구를 채우려고 하면 욕구는 좌절 당하고 인간은 고통을 겪는다.
1) “남자친구가 나를 사랑해주지 않아서 괴로워.” = 고통
내가 사랑받기 위해서는 내가 나를 사랑하는 수밖에 없다.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해주는 걸 바라는 게 아니다.
2) “아들이 공부를 안 해서 괴로워.” = 고통
아들은 아들대로 현재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들이 공부를 하지 않으면 내 기본욕구중에 어느 것이 충족되지 않아서 고통스러운 걸까? 그걸 탐색하고 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나의 행동을 선택하면 된다.
‘아들이 나중에 무시당하지 않는 삶을 살면 좋겠다.’ = 제대로된 나의 욕구라고 할 수 없다. 아들의 삶 자체에서 내가 어찌할 방법이 없다.
‘아들이 무시 받으면 내가 자식 양육을 잘 하지 못했다는 게 되고 그거 때문에 내가 부모로서의 지탄을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 힘의 욕구
그럼 아들을 공부시키는 게 아니라 내가 당당해질 수 있는 어떤 선택과 행동을 하면 된다. 공부하지 않는 아들이지만 내가 양육을 잘 했다고 할 수 있는 어떤 것들을 지금 당장 해보면 된다. 남들이 지탄하고 비판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당당할 수 있다. “나는 행동했고 그거에 따른 책임을 지고 있어.”
내 욕구가 충족되고 있는 상상의 모습: 질적 세계(내 욕구가 충족되는 장면)
질적인 세계대로 내가 살 수 있다면 그건 정말 행복하고 정신적으로도 건강해질 수 있는 삶
선택이론에서의 모든 행동은 ‘행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 ‘생리기능’으로 구성
이 중 생리기능(심장박동 등)은 내가 통제할 수 없다. 감정도 부지불식간에 갑자기 드는 거기 때문에 사실 나의 의지가 그렇게 많이 들어간다고 할 수 없다. 그러니 선택과 행동을 중시하는 현실치료에서는 우선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이 ‘생각하기’, ‘행동하기’
자연스럽게 현실치료의 상담과정, 상담기법에 들어가는 건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F6OTAQWOQVU&list=PLArdL8v7vp1OxBSdjxfrhzVhgaF0wI7q2&index=2
'영상 리뷰 > 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치료상담의 상담예시, 공헌점 및 한계점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5.02 |
---|---|
현실치료상담의 상담기법(RWDEP, 기적질문)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5.01 |
현실치료상담의 인간관, 심리적 문제 발생 이유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4.25 |
전교 2등이 학교에서 일진이 되어가는 과정 (ft. 제갈건, TV러셀) (0) | 2023.04.24 |
The Summary of the Stanford Lecture 'Think Fast, Talk Smart' (ft. Matt Abrahams) (0)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