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현실치료상담의 인간관, 심리적 문제 발생 이유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4. 25.
반응형

반디심리연구소의 현실치료상담의 인간관, 심리적 문제 발생 이유에 관한 영상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반디심리연구소장
반디심리연구소장

 

행동주의상담기법도 있는데 상담의 1세대 기법이라 요즘은 행동주의상담으로만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행동주의 상담의 기법을 많이 차용하고 있는 현실치료상담을 쓴다.

 

 

 

 

 

1950년대 William Glasser에 의해 처음 등장

Glasser는 정신분석 싫어함

정신분석은 과거 유년기에 대부분의 성격이 완성된다고 보는데 이런 시선이 Glasser가 볼 때는 사람들이 자기 행동에 책임지지 않고 과거 사건에 책임을 전가시킨다고 보였기 때문.

 

따라서 현실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책임’, ‘행동(+선택)’

 

현실치료상담 인간관

일단 현실치료는 인간이 외부의 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고 본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유롭고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선택하려는 욕구를 가진 존재 (4가지 심리적 욕구 + 1가지 생리적 욕구)

심리적 4욕구: 사랑과 소속, , 자유, 즐거움

생리적 1욕구: 생존

사람은 이 다섯가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불만을 느끼고 괴로워한다. 다시 말해, 사람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행동만 즉각즉각 할 수 있어도 괜찮은 것이다. 다만 그게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해치지 않는 선이 되어야 그 행동에 내가 책임을 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도 선에서 자신의 욕구를 실현해 나아간다고 보면 된다.

 

 

현실치료상담에서의 심리적 문제 형성

욕구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욕구가 있다는 건 자연스러운 것이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문제가 된다. 그럼 이 충족되지 않는 문제를 환경이 만들까? 아니다. 외부환경은 개인에게 영향을 주지 못한다. 환경 탓이 아니라 자기 탓이다. 그냥 내가 선택한 것이다.

이 선택에 영향 주는 개념이 바로 정체감.’ 나 그리고 주위 사람들이 나를 사랑해주고 나를 가치있게 여기면 성공적인 정체감 발달하는데 그렇지 않다면 패배적인 정체감이 발달한다.

 

패배적인 정체감을 가진 사람의 모습

나는 쓸도 없고 가치 없고 힘도 없는 인간이야. 이거 해서 뭐해.’ 이런 사람은 자기에게 확신을 가질 수 없다. 자기 확신, 책임 있는 행동을 하지 못 하고 현실을 회피하게 된다. 패배적인 정체감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욕구라는 현실세계를 왜곡하고 부정한다.

 

그래서 현실치료상당메서는 자신의 욕구를 무시한채로 현실을 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심리적 문제형성이라고 보고 있다. 환경이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면 그 환경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할 텐데 노력은 하지 않고 일단 자자. 자고 일어나면 뭔가 바뀌어있겠지. 지금 이건 현실이 아니야. 꿈일 거야.’ 이러는 사람들이라는 것!

 

현실치료상담의 키워드: 현실, 욕구, 선택, 행동

 
 
 
영상 확인: 반디심리연구소 (https://www.youtube.com/watch?v=gnvxcC_f0e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