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상담의 주요개념
본능이론, 의식구조, 성격구조, 성격발달, 방어기제
정신분석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본능은 ‘순수한 생물학적 욕구’
그렇다고 동물적인 것만은 아니고 인간은 그런 본능을 조절할 수 있는 에너지도 있기 때문에 인간의 본능은 ‘추동(drive)’이라는 용어를 쓴다.
추동: 순수한 욕구 외에, 고통스러운 외부 자극에 대처하기 위해 새로운 정신 조직을 분화시켜 만들어내는 유동적 에너지
인간의 발달은 추동이 현실에 맞게 조정이 되는가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본다.
추동 = 성적 본능(libido) + 공격적 본능
- 정신분석에서는 공격적 본능보다는 성적 본능을 좀더 강조함
성적 본능(libido)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느냐에 따라 성격이 발달한다고 본다. (심리성적발달단계) 즉, 정신분석에서의 발달단계는 이 성적 본능이 몸의 어디에 위치해있는가로 결정한다고 보면 된다.
※ 심리성적발달단계
- 구강기
- 항문기
- 남근기
- 잠재기
- 성기기
구강기(0~1세): 어머니의 젖을 빠는 행위를 통해 음식과 쾌락에 대한 욕구 충족. 만족되지 안흘 경우, 타인 불신, 타인 사랑거절(회피), 소원한 관계 등이 형성됨.
- 아이가 입으로 가져가는 모든 걸 빼앗으면 아이가 욕구를 충족할 기회를 빼앗게 된다.
항문기(1~3세): 똥오줌을 가리는 시기. 배변활동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인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서 배변 훈련을 통해 개인적 능력을 검증 받음. 독립의 학습, 개인적 능력의 수용, 분노와 공격 등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의 학습 등
- 배변활동을 원활히 못 한다고 혼내거나 배변활동을 더러운 것, 이상한 것으로 치부하면 아이들이 수치심을 갖게 된다. 배변활동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최대한 자율성을 보장해줘야 한다.
남근기(3~6세): 자신의 성기를 포함한 성적 관심이 생기는 시기.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시기(어린아이가 자신의 이성부모에게 근친상간적 욕망을 갖게 되는 시기). 이 욕망이 원활히 지나갈 수 있다면 건강하게 발달하겠지만 제대로 되지 못하면 죄책감을 형성한다.
- 이 때 부모의 반응이 굉장히 중요. 부모의 반응이 그 아이의 성에 대한 태도를 결정한다.
잠재기(6~12세): 성적 관심이 학교, 놀이친구 등 새로운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치우치는 시기. 성별 구분 없이 하나의 동물로서 움직이는 시기. 활동적, 신체적 에너지 자체로 욕구 해소.
성기기(12~계속): 남근기 주제가 되살아남. 성적 쾌락에 초점 맞춤.
(생후 6년까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잠재기, 성기기는 그렇게까지 비중을 두지 않는다.)
사람은 평생 성적 본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정신분석에서 주목하는 부분: 리비도가 과도하게 충족되거나 충족되지 못했을 경우
고착과 퇴행
- 고착: 심리성적발달단계에서 욕구가 과도하게 몰두 또는 박탈되었을 때 현재 단계에서 발달이 멈추는 현상
- 퇴행: 고착을 넘어 이전 발달 단계로 회귀하는 현상. 다음 단계로 발달되었는데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경우, 충족되었던 예전 단계로 돌아가는 현상. 과거에 충족했던 욕구에 안주해버리는 것.
구체적인 사례
초3 남자아이가 엄마가 샤워하는 욕실에 문을 열고 들어와서 “엄마, 나는 고추가 있는데 엄마는 왜 없어?” - 당황한 엄마는 욕실에서 아이를 내쫓고 문을 쾅 닫는다. 애가 고추를 만지니까 엄마가 “거기는 더러운 곳이야. 만지면 안 돼. 지저분해. 거기 만지는 거 아니야. 나쁜 짓이야”라고 혼낸다. 엄마가 샤워할 때는 욕실에 들어오는 게 아니라고 하면서 매우 큰 야단도 친다. 그날 밤 아이는 이제껏 하지 않았던 실수(자다가 이불에 실례)를 한다. 엄마는 이상하다고 판단하지만 문제가 있는 거니까 막 혼내면서 옆집에 가서 소금을 받아오라고 한다. 아이는 울고불고 하기 싫어하지만 엄마는 고칠 건 고쳐야 한다면서 억지로 시킨다. 얼마 후 아이에게는 새로운 버릇이 생긴다. (손톱을 물어뜯고 손을 빠는 것)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n5cBewL80zg&list=PLArdL8v7vp1NdK1to3D4WK2qfWcFixcyZ&index=4
'영상 리뷰 > 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들이 유독 청소를 열심히 하는 이유 (ft. 마스다 미츠히로, 가치 한걸음) (0) | 2023.06.18 |
---|---|
게으른 완벽주의자가 무기력증 치료하는 방법 (ft. 드로우앤드류) (1) | 2023.05.10 |
프로이트 정신분석상담의 상담목표와 상담과정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5.03 |
정신분석상담의 심리적 증상의 형성 및 해결 과정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5.02 |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 (ft.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