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
1. 시간 활용
- 8시반~4시반 근무
- 점심시간도 근무시간에 들어감
- 안전사고가 없도록 급식지도 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의 연장선!
2. 방학
- 3주 정도의 방학
- 기업에서는 거의 확보 불가능한 기간
- 방학에 며칠 나와야 하긴 함
- 방학 중에도 돌봄 등이 있기 때문에 일반 평교사는 1명씩! (학교 규모에 따라 1일 이상 근무)
3. (경력적인) 안정성
- 퇴직, 휴직에 대한 두려움이나 경력 단절에 대한 걱정이 없다.
- 언제든 복직할 수 있는 것도 큰 메리트
4. 상사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음
- 교사에게 상사는 교장, 교감, 부장님 + 연차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
- 너무 까탈스런 사람이랑 같이 일하면 상사 스트레스가 많긴 하지만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실 안에서는 가장 권위가 높기 때문에 상사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다.
5. 사명감, 뿌듯함
- 학생들 성장시키고 학생들과 래포 형성되고 제자들이 방문해주고 연락해주면 뿌듯함이 크다.
- 추억이 많고 그만큼 사명감도 생긴다.
6. 복지포인트 자유롭게 사용 가능!
7. 학급당 20만원 정도 예산이 지원돼서 학생들을 위해 돈을 쓸 수 있다.
단점
1. 고정적 시간
- 연차를 쉽게 쓸 수 없다. 학생들은 매일 학교에 나오기 때문에 아무리 아파도 가급적 학교에 나와야 한다.
- 담임자리가 비면 누군가가 채워야 하고, 재택근무가 거의 불가능하다.
2. 학생 스트레스
- 감정노동
- 10~30명을 한 번에 케어하다보면 에너지 소모가 크다.
- 성인 대하거나 혼자 일하는 거 좋아하는 사람들은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재고할 필요도 있다.
3. 동료 스트레스
- 개인 생활 vs 공동체 생활
4. 매너리즘
- 성과낸 만큼 보상을 받을 수가 없다.
- 인풋 있다고 아웃풋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기업의 매출이나 수익처럼 수치화 시키기도 어렵다.
- 그나마 할 수 있는 게 성적인데 초등학교는 시험이 없어졌고 점수화를 교육에서 권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육 성과를 측정하기 어려워진다.
- 교사의 전문성이 수업인지 성적인지 인성인지 기준이 불분명하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vKFo9c_KfNo&list=WL&index=5
'영상 리뷰 > 공부·교육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원 논문 표절을 방지하는 방법 (ft. 히든그레이스 TV 김성은 대표) (0) | 2023.01.12 |
---|---|
전문상담교사는 꿀 빠는 직업인가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1.09 |
수능 평균 6등급 노베이스가 삼수만에 연대 합격 (ft. 송요찬, 뮤니버스 미미미누) (0) | 2023.01.07 |
이걸 알면 100일만에 의대도 쌉가능 (ft. 서울대 까는 남자, 서까남 TV) (0) | 2023.01.06 |
서울대 아니면 안 간다는 광희 텐션 미대 재수생 (ft. 미미미누, 강소윤)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