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창시자, 시대상으로 알아보는 정신분석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10. 12.
반응형

심리치료 이론은 창시자의 자기고백이다. 어떤 이론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창시자의 개인적인 생애, 창시자가 살았던 시대상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프로이트는 추종자들의 미화, 비판자들의 폄하가 공존하기 때문에 가치판단 내리기 어렵다.

 

반디심리연구소-형아쌤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하지만 확실한 건 프로이트가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인간의 심층적인 내면세계를 체계적으로 정교하게 밝혀 인간 이해의 틀을 획기적으로 마련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업적이다.

 

 

프로이트는 누구인가

1856년 오스트리아 출생, 어머니는 아버지에 비해 19살이나 많았으며 세 번째 아내였음. 아버지와의 관계 복잡. 부친의 사망에 대한 죄책감으로 괴로워 했으며 이를 계기로 자기 분석을 시작함.

정신분석이론에서 오이디컴플렉스 등을 주장하는 배경은 자신이 어머니랑 아버지 사이에서 어린 시절에 겪었던 경험을 반영한 것이라는 주장도 많다.

프로이트는 1880~1882Anna O라는 사람의 사례를 접하게 된다. Anna O는 히스테리 감정을 통해서 다채로운 전환 증상이 일어나는 사람이었다. 그녀가 치료과정에서 느끼는 의사를 향한 강한 정서적 반응을 토대로, 신체적 마비를 주된 증상으로 나타내는 히스테리라는 것이 심리적 원인에서 발생하는 것, 그리고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됨.

(히스테리가 심리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성과 관련된 충격적 사건이 히스테리의 원인이 된다고 인식을 하게 된다.

1897년에 한 여성환자를 치료하던 중 새로운 임상경험을 하게 됨. 그 전까지는 히스테리가 환자들이 실제 겪었던 충격적인 성과 관련된 사건 때문이라 생각했는데 실제 사건이 아닌, 공상, 상상에 의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었던 것이다. 환자들이 호소하는 성적 외상 내용이 실재한 사건이 아닌 환자의 공상과 상상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 독특했다. 환자들은 얘기를 할 때마다 사건에 대해 다르게 서술했다. 이를 토대로 프로이트는 실제보다 환자의 내면적 욕망과 공상의 역동에 관심을 갖게 됨.

실제로 어떤 일이 있었느냐를 중시하고 그것이 히스테리의 원인이라고 밝혔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사실을 추궁하는 식으로 상담이 이루어졌고 그에 맞춰서 내담자들도 그런 일 있었던 것 같아요. 저의 무의식은 그렇게 생기게 된 것 같아요.”라고 억지추측을 하게 되었지만 프로이트가 공상에 관심을 가진 후로는 실제 일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당신의 마음 속에서, 상상 속에서 그런 일이 자리잡고 있다면 이것이 어떻게 무의식에 젖어들었는지 그 역동을 찾아보자는 식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혹자들은 이 때부터를 본격적인 정신분석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이것을 추동 심리학이라고 한다.

 

 

 

 

 

 

인간의 추동을 중심으로 한 무의식적인 세계에 관심을 둔 게 프로이트의 추동이론이라고 한다면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내면적 추동과 외부적 현실을 조정하는 자아에 좀더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프로이트의 관심이 옮겨가게 된 것이 자아심리학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아심리학을 대표하는 사람은 프로이트의 딸이었던 안나 프로이트였다.

 

 

프로이트 이후의 정신분석은 상당히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이론을 설명하면서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다.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을 통해서 그 무의식을 자각하고 의식화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즉 정신분석의 가장 큰 목표는 자기분석을 통한 무의식의 의식화이다. 이것을 위해서 문제점의 원인을 과거에서 찾아보게 된다.

 

 

왜 무의식, 과거에 중점을 두었을까?

당시는 1800년대 후반이다. 과학과 이성이 중심이었을 때다. 이전에는 신학이 주류였다. 근데 신학, 과학 뭐가 됐든 간에 감정이라는 것이 상당히 불필요한 것이고 통제되어야 하는 거라는 생각들이 있었다. 피임도 없던 시절이기 때문에 성적인 욕망은 매우 위험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위험한 것을 어떻게든 통제하려고 했었던 그 시대적인 배경 하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욕망이 신체적인 문제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상황에서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는 개념은 자신의 욕망을 합리화시켜주는 면죄부로서 기능한 측면도 있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U09KBzYGusE&list=PLArdL8v7vp1PDPe-ZQDMaXDgMdExfmWXm&index=7 

창시자, 시잳상으로 알아보는 정신분석 영상 - 반디심리연구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