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정신분석상담의 의식구조와 성격구조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10. 11.
반응형

정신분석 공부하다보면 항상 빙산 그림이 있는데 그 그림이 나타내는 것이 의식구조이다.

 

 

반디심리연구소-형아쌤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의식 구조

의식: 현재 자각하고 있는 것

전의식: 노력을 기울이면 의식되지만, 현재 의식하지 못하는 것

무의식: 심층에 있어서 의식하려 해도 쉽게 의식되지 않는 것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의식!

 

 

반응형

 

 

 

무의식은 의식적인 사고와 행동을 전적으로 통제한다.

깊이 숨어 있지만 인간 모든 행동의 근원이다. 그러나 무의식이 밝혀지고 나면 어떤 사고와 행동이 무의식에 기반을 둔 것인지 알 수 있다. 더 이상 의식은 무의식이 하는 이야기를 그대로 따르려고 하지 않고 의식 자체가 행동과 사고에 주인이 되어서 자주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의식을 의식할 수 있는 방법: , 말 실수, 자유 연상 등

 

 

의식, 전의식, 무의식이 인간의 의식구조에 관한 것이라면, 원초아, 자아, 초자아는 인간의 성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원초아, 자아, 초자아 중에 누가 에너지를 잡고 있느냐에 따라 성격이 결정된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성격 구조

원초아: 본능이 자리잡고 있는, 1차적인 과정사고를 하는 곳. 원하는 장난감을 안 사주면 드러눕는 아이의 마음이 원초아라 볼 수 있다.

자아: 현실의 원칙에 따라 논리적인 사고를 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중재자이다.

초자아: 도덕적이고 규범적, 이상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다. 장난감을 절대 사주지 않고 공부해야 한다라고 하는 부모님을 생각해볼 수 있다.

 

 

자아는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조율을 한다. “성적을 올릴테니 장난감을 사달라.”

 

 

이 자아에서 방어기제라는 개념이 나타나게 된다.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현실적인 중재를 하는 과정에서 방어기제가 등장함.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n567hdEm6xs&list=PLArdL8v7vp1PDPe-ZQDMaXDgMdExfmWXm&index=6 

반디심리연구소 영상 - 정신분석상담 의식구조, 성격구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