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10. 13.
반응형

인간중심상담의 시작: 1930~1940년대에 미국 심리학자 칼 로저스의 이론에 근거해서 발전된 상담 이론

 

 

반디심리연구소-형아쌤
반디심리연구소 형아쌤

 

 

당시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이론은 정신분석이론, 행동중심이론 두 가지!

 

 

그런데 이 두 가지 이론을 반박하면서 정신분석이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너무 중시하는 바람에 지나치게 해석적이고 지시적인 상담을 한다는 점을 비판하며 등장한 것이 인본주의이론! (비지시적,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함)

 

 

인간중심이론(상담)의 인간관

인간은 매우 능동적인 존재다. 인간중심은 상담자가 너무 지시적, 해석적이었다는 것에 반기를 들고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상담자가 특별히 뭘 하지 않더라도 내담자가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삶을 바라볼 때도 마찬가지다. 통제할 수 없는 거대한 힘이 있어서 인간이 그것에 끌려가는 형식이 아니고 능동적으로 상황을 통제하고 자유롭게 선택한 결과가 인간의 삶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성장가능성(자기실현경향성)이 있다. 이 성장가능성을 실현해 나가면서 인생의 목표와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물론 능동적이기 때문에 선택에 따른 책임 역시도 자신이 짊어지고 수용하는 존재로 보고 있는 것이다.

, 타고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정 조건만 갖춰진다면 인간은 무한한 성장과 발전이 가능하다고 보는 게 인간중심상담이다.

스스로 성장하려는 자기실현경향성이 있는 내담자는 스스로가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상담사는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인간 그 자체에 초점을 둔다.

 

 

반응형

 

 

 

인간중심이론에서의 상담사의 역할

내담자가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과 수용을 해주고 내담자를 공감해주며 상담자 역시 진솔한 태도로 내담자를 대하는 것이 상담에서의 필요충분조건이다.

 

 

공감, 경청을 가장 중심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인간중심상담이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A0h8JJ_EWaI&list=PLArdL8v7vp1PDPe-ZQDMaXDgMdExfmWXm&index=8 

인간중심상담 인간관 영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