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유튜버 이연님의 "내가 다니는 회사를 잘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회인 8년차
회사생활 4년 6개월
회사를 안 다녀서 아쉽다는 작가 친구들
회사를 나와서 내 걸 하고 싶다는 회사원 친구들
회사를 다니면서 미래를 도모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메시지
"어차피 퇴사를 할 거면 이런 것들은 챙겨서 나오세요" (이연의 개인적인 경험)
1. 메일 커뮤니케이션
- 회사에서는 기본 의사소통 방법이 메일
- 마스터하고 나오시면 좋을 듯
- 메일을 잘 쓰는 사람이 있음
- 그걸 관찰하면서 본인의 기준을 세워 보기
- 작가가 되었을 때 메일이 중구난방으로 오면 그걸 실수로 너그럽게 봐주는 사람은 없다.
- 메일을 쓸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것: 감정적으로 메일 쓰기(급발진하지 않기)
= 일을 하다보면 싸울 때도 필요하고 '이건 진짜 아닙니다' 할 때도 필요하지만 그게 메일로 남으면 리스크가 너무 크다.
= 조리돌림 당하기 쉽고 우스운 사람으로 낙인 찍히기 쉽다.
= 화를 참는 것보다 나중에 수습하는 게 더 힘들다.
- 장황한 메일은 안 좋다.
- 형식이라는 게 잘 느껴지지 않는 메일도 안 좋다(펜팔같은 느낌)
- 요청사항(원하는 것, 기한 등)이 요약되지 않은 메일도 안 좋다.
- 잘 쓴 메일은 적당히 예를 갖추면서도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받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정리가 잘 된 것!
- 이런 게 필요한 이유는 결국 오프라인에서 자영업을 하거나 한 게 아니라면 기업, 회사랑 협업하면서 메일을 써야 하기 때문!
- 작가도 같이 일할 사람들이 어차피 회사원이기 때문에 회사원의 언어의 기본인 메일링은 꼭 마스터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했으면 좋겠다.
2. 기획 능력
- 서비스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 회사
- 생산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시작을 했고 지속시키고 사람들에게 바이럴하는가 하는 전체 과정을 다 볼 수 있는 게 회사
- 이런 걸 보고 참고하면 매우 도움이 된다.
- 마케팅, 브랜딩에 대해 책을 읽어본 적이 없지만 모나미, 렛츠드로우 키트 등을 팔아본 경험이 있는데 그럭저럭 잘 해낼 수 있었던 이유가 회사에서의 경험 덕분
- 회사에서 배운 걸 유튜브에 적용하니까 고객(구독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용이했다.
- 기획력이라는 것이 결국 회사 밖에 나가서 자기 것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 내가 회사에 채용되면 결국 한 위치를 맡게 될 텐데 그 위치에서 내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고 앞단과 뒷단에는 어떤 프로세스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면 그게 다 내 사업할 때 도움이 된다.
3. 리더십
- 나쁜 리더는 별로 없었다.
- 최고의 리더는 별로 기억나지 않는다.
- 그렇다면 기억에 남는 사수나 좋은 선배의 특징을 생각해보자.
- 일을 할 때 어떤 부분에서 우리는 동기부여를 받고 존중 받는다는 느낌을 받는가? 그리고 그런 것 덕분에 우리는 어떻게 아웃풋을 뽑아내는가?
- 리더십 = 사람 잘 부린다, 리드한다 이런 걸 넘어서 같이 일을 하고 싶게 만든다 라는 좀 더 큰 개념
- 좋은 리더십을 체득해야 인간관계에서 도움이 된다. 프리랜서가 혼자 일해도 결국은 혼자 일하는게 아님.
4. 업무 매너
- 첫 회사, 두번째 회사가 어디였냐가 이후의 사회생활에 영향을 준다.
- 특히 예의와 매너에!
- 자잘한 매너: 미팅할 때 명함 주고 받기, 상석 구분하는 방법 알기, 전화 예절 등
- '오늘까지 드릴게요' = '6시 이전까지 드릴게요'가 예절상 당연한데 모르는 사람들은 정말 저녁 12시 전까지라고 인식하기도 한다.
- 점심시간에 연락하지 않기
- 줌 미팅하는 스킬 = 깔끔한 옷 입기, 배경이 산만하면 흐림 처리하기, 마이크 음질 체크하기, 조용한 환경에서 하기, 제때 음소거 하기, 인사하고 적당히 빨리 나가기 등
회사를 안 다녀본 사람들은 책을 읽으면 충분히 습득 가능하다.
회사를 다니면 이런 걸 공짜로 + 월급 받으면서 배울 수 있다.
'영상 리뷰 > 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막한 세상에서 꿈을 찾는 방법 (ft. 이연) (0) | 2022.07.08 |
---|---|
남들에게 존중 받고 싶다면 절대 잘 보이려 하지 마세요. (ft. 놀심, 함광성) (0) | 2022.07.07 |
인기있는 내향인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특징 (ft. 놀심, 김경일 교수) (0) | 2022.07.06 |
센스 있는 사람이 되는 법 (ft. 이연, 클래씨) (0) | 2022.07.06 |
결혼은 사랑으로 하는 거라는 사람들에게 (ft. 아는 변호사 이지훈)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