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에게 존중 받고 싶다면 절대 잘 보이려 하지 말라고 합니다. 놀심 채널 영상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영상 링크는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존감(자아존중감): 나 스스로를 존중하는 느낌
- 느낌이라서 정의하기 어려움
- 스스로를 리스펙하는 느낌
- 자기비난은 스스로를 디스하는 것
모든 심리적 어려움을 자존감 탓으로 돌리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 자존감이 낮아서 우울하다, 자존감이 낮아서 불안하다 등
- 마치 MBTI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하는 게 잘못된 것이듯
- 자존감 만능주의는 위험
자존감이 높다: 심리적 근육이 많다는 뜻. 심리적 어려움을 잘 견딜 수 있음. 삶을 클리어하게 살 수 있음. 생각을 많이 안 하고 살 수 있음.
인간의 종족 특성 상 생각을 많이 하면 그 생각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 그래야 생존에 유리하니까! 근데 자존감이 높아면 '그렇구나' 하고 끝나는 경우가 많다. 잡다한 생각을 많이 하지 않음.
내가 말을 더듬어서 속상한 경우
자존감이 높은 사람: '아, 내가 말을 더듬었구나, 속상하다, 아쉽다' 끝
자존감이 낮은 사람: '아, 내가 말을 좀 더듬었네, 어떡하지, 편집해서 잘라주실까, ...' 이런 생각들이 덕지덕지 붙으면서 삶이 무거워진다.
스스로가 자존감이 높은지 낮은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
1. 자존감 척도(로젠버그의 자존감 척도): 객관적 지표지만 자존감은 주관적인 영역의 개념이므로 너무 이 결과에 연연할 필요는 없음
2. '그냥 나라서 좋아'라는 느낌이 스스로한테 적용된다면 자존감이 높은 것
자존감은 근자감과 속성이 비슷! 굳이 스스로를 평가하려 하지 않음. 그냥 나는 나로 최고다 라는 마인드!
자존감 때문에 여러 문제가 생기는 것도 맞지만 문제행동 때문에 자존감이 낮아지는 측면도 있다. 서로 순환하는 개념!
스스로 시도해볼 수 있는 자존감이 좋아질 수 있는 방법
1. 내가 자존감이 낮아서 못 했던 행동들을 생각해본 후 종이랑 펜을 꺼내서 내가 만약 자존감이 높다면 어떤 행동들을 할 것 같은지 목록으로 써보기
ex) 자존감이 높았다면 지난 번에 식당에서 머리카락이 나왔을 때 좀 더 당당하게 컴플레인을 했겠지
2. 이런 목록을 억지로 연기해라. '내가 자존감이 높은 척 하겠다'
3. 연기하다보면 성공경험이 따라올 것! 주변의 시선과 평가도 달라짐.
자존감은 만들어진다. (청소년기 이전) 어린 시절의 경험이 중요!
아주 아기때는 스스로를 사랑하는 방법을 알 수가 없음.
그 후에는 엄마가 나를 대해주는 방식이 곧 내가 나를 대하는 방식이 됨.
애기때 엄마가 나를 사랑해주고 존중해주고 있는 그대로 봐줬다면 자존감은 자연스레 높았을 것!
초등학생 저학년 아이가 뛰어가다가 넘어져서 우는 경우, 엄마가 와서 '아니야 이거 아픈 거 아니야. 하나도 안 아파. 그냥 가면 돼. 이거 아픈 거 아니야. 울 필요도 없어.' 이렇게 얘기하면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음.
내가 아프거나 슬픈 경험 자체를 엄마가 부정하니까 '내 감정이 틀린 건가, 이러면 안 되는 건가'라는 생각이 박히게 됨.
어릴 때 이런 경험을 많이 했다면 자존감 측면에서 많이 불리한 건 맞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음 (내가 자존감 높은 사람인 척 행동해보기)
핵심은 결국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걸, 내가 하고 싶은 걸 곧바로 행동으로 옮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상 리뷰 > 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 친구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손절해야 하는 사람 (ft. 놀심, 김경일 교수) (0) | 2022.07.12 |
---|---|
막막한 세상에서 꿈을 찾는 방법 (ft. 이연) (0) | 2022.07.08 |
내가 다니는 회사를 잘 이용하는 방법 (ft. 이연 이연수) (0) | 2022.07.07 |
인기있는 내향인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특징 (ft. 놀심, 김경일 교수) (0) | 2022.07.06 |
센스 있는 사람이 되는 법 (ft. 이연, 클래씨) (0)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