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11장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by W.H. 2023. 8. 28.
반응형

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가족치료의-이해
가족치료의 이해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주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족 내의 발달적인 경향을 묘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다. 개인의 발달은 가족의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가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족구성원의 발달은 가족생활주기의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각 가족생활주기마다 수행해야 할 특정 발달과업이 있는데 발달과업을 잘 수행하고 각 단계에 맞게 각 구성원의 지위와 관계가 변화되면 가족이 잘 기능하게 된다. 하지만 특정 발달과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가족생활주기의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적응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가족은 적응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생기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므로 가족생활주기상의 위기가 가족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응형

 

 

 

카터와 맥골드릭

현재 가족치료에서는 카터와 맥골드릭의 가족생활주기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벡바와 벡바의 가족생활주기의 역동적 과정모델을 통해 가족발달을 개인발달과 통합하여 보다 더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가족생활주기는 3세대 이상의 가족을 결혼전기, 결혼적응기, 자녀아동기, 자녀청소년기, 자녀독립기, 노년기의 6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각 단계의 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스트레스를 수직적 스트레스원수평적 스트레스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수직적 스트레스원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세대를 거쳐 전수된 가풍, 규칙, 생활사 등이 있다. 수평적 스트레스원에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전환하면서 생기는 규범적이며 발달적인 스트레스와 불시의 사고 등 불예측적인 스트레스가 포함된다.

 

공통적인 문제

한국인의 가족생활주기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를 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공통적인 문제는 가족 간 갈등, 대화의 단절, 부부갈등과 폭력, 이혼, 경제적 문제였다. 한국인의 가족생활주기에도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데 변형의 주된 원인으로 독신, 저출산, 고령화, 혼인의 감소, 이혼의 증가가 지적되고 있다. 이혼이나 사별 또는 비혼으로 한부모가족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혼가족, 동성애가족, 집단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도 증가일로에 있다. 다양한 가족 형태에서 개인과 가족의 문제는 개인의 발달은 물론 가족의 생활주기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고 가족치료자는 이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