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판(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보웬
보웬은 가족이 자연의 진화과정의 결과라고 보기 때문에, 보웬 이론은 ‘가족’에 관한 것이라기보다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 행동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웬은 개별성과 연합성의 균형에 있어 가족의 정서역동이 다른 자연계 법칙과 동일한 역동을 따른다고 보았다. 가족 내 만성불안이 만연하면 연합성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여 가족원이 공동의 자아, 즉 융합 상태가 되는 것이다.
치료 목표
보웬 가족치료 모델은 치료기법보다 여덟 가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무장을 강조한다. 보웬 모델에서 치료목표는 자기(자아)분화의 증진을 촉진하는 것인데, 자기분화란 독립성과 연결성이 균형 잡힌 심리적 통합인 동시에 개인이 타인과 건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치료적 접근은 감정에 지배되지 않은 차분한 분위기에서 내담자가 가족관계의 역사를 직면하고 현재 문제와의 관련성을 깨닫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운동장에서 경기를 직접 할 때보다 관람석에서 경기의 흐름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가족의 불안유형과 정서과정의 흐름도 한 걸음 떨어져 봄으로써 가족체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자 자신이 가장 중요한 치료적 도구이므로 내담자 가족보다 더 높은 자기분화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치료자 훈련과정에서 원가족 탐색이 요구된다.
다세대 가족정서과정
보웬 가족치료 모델은 증상에 초점을 두기보다 개인 또는 핵가족 증상의 맥락, 즉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정서과정을 고찰한다는 면에서 창의적이며 개인을 비난하지 않는 체계적 관점을 가진 접근이다. 지적체계와 정서체계의 균형을 강조하며 대물림되는 가족의 정서에 초점을 둔 이 모델은 임상가에게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최소 3세대 이상의 가족을 다룬다는 점에서 탐색범위가 넓으나, 실제 치료단위는 개인이나 부부에 한정되어 있다.
비판
보웬 모델은 임상적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비판에 직면해 왔다. 첫째, 자기이해를 통한 분화를 강조하는 인지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어린이나 인지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대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보웬 이론과 주요개념이 성과 문화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 치료자로부터 가부장적 모델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예컨대, 자기분화 개념이 독립성과 개별성을 wlsckl게 강조하여 여성보다 남성이, 동양 문화권보다 서양 문화권의 사람들이 더 높은 수준의 자기분화수준을 주장할 수 있는 오류가 있다. 그럼에도 보웬 모델의 한계점은 다양한 학문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제자와 여성 가족치료자에 의해 끊임없이 보완되고 있으며 임상적 유용성 또한 확장되고 있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장 “가족치료의 윤리적 쟁점”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1) | 2023.08.31 |
---|---|
제12장 “가족평가”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31 |
14가지 개인상담이론 인간관, 행동 동기 비교 (ft. 함성) (0) | 2023.08.29 |
제11장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8 |
제2장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