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12장 “가족평가”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by W.H. 2023. 8. 31.
반응형

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가족치료의-이해
가족치료의 이해

 

가족평가

가족평가는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가족 내부와 외부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가족에 대한 개입을 계획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가족평가는 가족치료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이며, 가족치료의 초기단계와 중기단계, 종결단계에서 각 치료단계의 목표에 맞추어 평가가 이루어진다.

 

동향

전통적으로 가족치료는 개인 심리치료 분야에 비해 평가를 덜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가족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개입은 분리되기보다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진행된다. 가족치료 모델에 따라 평가에 대한 관점에도 차이가 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내담자 가족의 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반응형

 

 

 

평가 방법

가족평가의 주요 방법으로 면접과 관찰, 검사를 꼽을 수 있다. 면접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반면 관찰은 비언어적 교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검사도구로는 도식적 도구와 계량적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먼저 도식에 의한 가족평가 방법은 가족의 역동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가계도와 생태도와 같은 도구가 대표적인 도식적 방법의 검사도구라 할 수 있다. 계량적 가족평가 도구로는 설문지나 체크리스트, 표준화된 도구 등 개인의 심리성향이나 관계를 양적으로 측정하여 활용하는 방식의 검사가 있다. 이 장에서는 가족치료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계도, 생태도, MBTI, ENRICH, 순환 모델 등의 검사도구를 소개하였다.

 

전문가 중심 vs. 내담자 중심

가족평가는 가족을 평가하는 주체에 전문가 중심의 평가와 내담자 중심의 평가로 나누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가족체계 모델의 개념을 중심으로 가족치료자의 관점에서 가족평가가 이루어졌지만,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강해지면서 치료자보다 내담자 중심의 평가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와 내담자의 전문성을 협동적으로 조화한 통합적인 가족평가야말로 최적의 치료개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