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13장 “가족치료의 윤리적 쟁점”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by W.H. 2023. 8. 31.
반응형

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가족치료의-이해
가족치료의 이해

 

가족치료자의 윤리적 갈등 상황

가족치료자는 항상 윤리적 갈등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윤리적 딜레마를 좀 더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기 자신의 개인적 가치를 비롯해 사회적, 전문적, 조직적 가치를 의식하는 자세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 장에서는 가족치료 실천의 주요 윤리원칙으로 내담자에 대한 책임, 비밀보장, 전문성과 품위, 훈련생 및 연구대상에 대한 책임, 가족치료 전문직에 대한 책임을 비롯하여 비용에 대한 합의, 서비스에 대한 홍보에 있어 가족치료자의 책임을 설명했다. 또한 가족치료에서 종종 당면하게 되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 가운데 개입의 초점을 가족 전체가 아닌 일부 성원에게 두게 되는 경우, 개입의 결과가 내담자 기대와 다른 경우, 비밀보장의 범위와 한계가 불분명한 경우, 치료자와 내담자 간에 이중관계가 발생한 경우, 정신과 진단명의 사용이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치료자 가치가 개입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치료자가 미해결된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를 들어 각각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해결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반응형

 

 

 

가족치료자의 자가 점검

가족치료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가족치료 모델에 내포된 가치와 윤리적 측면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동시에, 위 윤리원칙을 임상 활동이 이루어지는 맥락(기관)에 통합시킴으로써 가족치료의 실천이 윤리적 테두리 안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에 제시된 3단계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은 치료자의 윤리적 의사결정, 동료 및 슈퍼바이저 자문, 전문가조직 윤리위원회 자문으로 구성되며, 가족치료자가 윤리적 딜레마에 당면했을 때 그 해결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윤리적 사정, 윤리규칙 검토, 윤리원칙 검토로 이어지는 치료자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이 모든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다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치료자의 자가 점검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