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컨텐츠_함성에서 제시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신분석]
비관적 인간관, 본능적 추동(성과 공격성)에 의해 동기화됨
[프로이트 이후의 신정신분석]
비관적 인간관, 본능적 추동 인정, 그러나 Ego의 힘을 인정(프로이트와의 차이점)
프로이트는 자아를 원자아의 충동들을 조절하려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고 원자아로부터 발전한 부속물로 보았지만 자아심리학에서의 자아는 원자아와 별개로 자신의 에너지를 갖고 있고 인지, 현실검증, 판단, 방어 등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하면서 원자아, 초자아, 외부세계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으로 재정의한다. 자아가 원자아의 부속물이 아니라 자신의 에너지를 갖고 있다고 보는 관점은 상담, 심리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포인트!
[개인심리학]
낙관적 인간관. 우월감과 공동체의식을 얻기 위해 행동한다.
[인간중심]
낙관적 인간관.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동기에 의해 행동한다.
[실존주의]
접근법에 따라 낙관적일 수도, 비관적일 수도 있다. 인간은 의미 추구를 위해 행동한다.
[게슈탈트]
낙관적 인간관. 욕구들을 충족(성장)시키고 동시에 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동기에 의해 행동한다.
게슈탈트 이론에서의 욕구 충족은 프로이트의 본능적 추동과는 다른 것이다. 게슈탈트 이론에서는 ‘성장’을 의미한다.
[행동치료]
중립적 인간관. (낙관적이지도, 비관적이지도 않다.)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 자원 획득하려는 동기에 의해 행동한다. 행동 A에 대한 결과(환경적 자원)가 행동 B를 가져온다.
간단히 말하면, 인간은 긍정적인 반응쪽으로 가까이 다가가고 혐오스런 반응으로부터는 멀어지려고 한다.
그리고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이 결과여부에 달려있다고 설명하면서 정적강화, 부적강화, 소거, 처벌이라는 결과를 통해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했다.
[합리정서행동치료]
중립적 인간관. 인간이 행동하도록 하는 동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음.
[인지치료]
(행동치료에서처럼) 중립적 인간관.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동기부여되고 핵심믿음, 중간믿음, 자동적생각 같은 인지, 즉 믿음의 내용물이 행동을 결정한다.
그리고 최근 인지치료과정에서는 정신분석이론처럼 행동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인간 무의식을 인정하기도 한다.
[현실치료]
낙관적 인간관. 기본적 욕구에 의해 행동한다. 기본적 욕구 중 사랑, 소속감을 강조한다.
[페미니스트 이론]
인간관과 행동 동기에 대한 명확한 설명 없음
[가족체계이론]
보웬: 중립적 인간관. ‘개인화’와 ‘함께 함’ 사이의 긴장이 행동을 유발한다.
사티어(경험주의적 가족체계이론): 낙관적 인간관. 성장과 사랑에 의해 동기부여된다.
전략적, 구조적 가족체계이론에서는 인간 행동의 동기를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
[해결중심치료]
중립적 인간관. 행동 동기에 대한 언급 없음.
[이야기치료]
낙관적 인간관. 인간은 의미 추구를 위해 행동함.
영상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XWXxbCgNpI0&list=PLehxqycv3Sb6b2LQOuexycPKs_ckqKyph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장 “가족평가”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31 |
---|---|
제4장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30 |
제11장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8 |
제2장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3 |
제3장 “초기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