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2장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by W.H. 2023. 8. 23.
반응형

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가족치료의-이해
가족치료의-이해

 

도입

사회와 문화에 따라 사람들이 병이나 문제라고 지각하는 것, 문제의 원인에 대한 신념이나 대처방식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서구에서 상담이나 치료가 도입되기 전에 한국인이 사용해 온 문제예방과 대처방식에 대한 이해는 서양에서 발전된 가족치료를 우리나라에 접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작업일 것이다.

 

반응형

 

 

 

전통

이 장에서는 유교, 불교, 도 사상, 음양오행 사상 등 한국의 전통 종교의식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유기체론적, 전체론적 세계관으로 대표되는 동양 문화권에 속한 한국인은 문제발생이 개인을 벗어나 가족, 사회, 더 나아가 우주적 질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으며, 문제예방 및 해결책 또한 더 큰 체계와의 연결성 속에서 찾아왔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장에서는 최근의 주요한 사회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한국 가족에 미친 영향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증가, 저출산 및 고령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혼인율 감소와 이혼율 증가 등이 현대 한국 가족을 둘러싼 새로운 사회적 위험으로 떠오르는 점을 논의하였다. 가족생애주기, 가족구조, 가족가치관, 가족기능상의 변화 등 탈근대주의 가족으로의 이행이 현대 한국 가족이 처한 위기의 압축성에 기여하고 있는 점을 조명하였다.

 

발달과정

다음으로 한국에 가족치료가 도입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달과정을 살펴보았다. 전문학회의 결성 과정과 현황, 자격제도화 발전과정 및 가족치료사의 자격 요건, 대학에서의 가족치료 교육과 연구 현황, 그리고 가족치료 발전을 위한 다양한 학문적 활동 현황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치료 관련법과 제도에 대한 소개를 통해 가족치료사의 활동 영역을 제시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