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판(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초기 가족치료 모델
가족치료는 개인 심리치료의 한 분파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개인치료의 밑바탕이 된 세계관과는 다른 세계관이 나타나면서 태동하고 발전하였다. 초기 가족치료 모델은 체계론적 사고를 함축하는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로부터 비롯되었으며 가족의 역기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개념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일반 체계이론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은 생물학자인 베르탈란피였으며, 일반 체계이론과 더불어 생태체계이론, 자연체계이론, 전일론, 사이버네틱스 등의 비슷한 개념이 소개되었는데, 이 모든 용어는 부분에서 전체로의 전환을 함축하였다. 일반체계이론의 기본 개념인 체계와 하위체계 및 경계, 개방성과 폐쇄성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기본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처리와 의사소통, 규칙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상호보완성과 패턴, 전체성, 자기 조직의 개념을 통해 체계의 속성을 이해할 수 있다. 가족도 하나의 체계로서 일반체계이론의 기본 개념을 근거로 가족을 이해하는 것ㄷ은 초기 가족치료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한편 사이버네틱스는 1차와 2차로 구분되며, 1차 사이버네틱스는 일반체계이론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일반체계이론
일반체계이론은 초기 가족치료 모델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가족치료 모델이 구체화되기 전에도 일반체계이론을 기초로 조현병 환자 가족을 설명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개념이 발전되었다. 베이트슨의 이중구속 개념, 리즈의 부부균열과 부부불균형 개념, 윈의 거짓상호성과 거짓적대성 및 고무울타리 개념은 당시 조현병 환자 가족의 치료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지금도 조현병의 발병이 가족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이러한 시각이 여전히 고려되고 있지만, 신경과학의 발전은 조현병이 뇌기능 장애와 관련된다는 강력한 근거를 제기함으로써 조현병 치료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초기 가족치료 연구에서 발전된 여러 개념은 오늘날 조현병 환자 가족을 설명하기 위해서보다도 역기능적 가족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장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8 |
---|---|
제2장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8.23 |
제14장 “의미치료”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8.20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상담이론 요약 (0) | 2023.08.18 |
제1장 “서구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1) | 2023.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