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논문 통과가 목적이라면 논문 심사자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심사요소는 무엇?
- 지도교수님에 따라 다르다.
- 심사기준이 적합했다고 하면 '가설 - 주제 - 분석 방법 - 결론 및 제언 - 한계점'을 일치시켜야 한다.
- 이것을 '자신의 연구 논리의 일치성'이라고 얘기한다.
- 실제 학위 논문에는 이론적 배경이라는 게 들어가는데 학회지나 학술논문 쓰게 되면 이론적 배경 거의 배제된 상태에서 연구 가설, 연구 주제, 분석 방법, 결론 및 제언, 한계점이 일치해야 한다.
- 이것을 일치시키는 것을 연구 설계라고 한다.
- 연구설계가 제대로 되어 있으면 나머지는 어렵지 않다.
- 이론적 배경이나 글의 내용이 바뀔 수도 있지만 실제 내가 세웠던 가설과 주제, 분석 방법, 결론 및 제언, 한계점은 바뀌지 않는다.
- 이 골격 전체가 논리성이 일치되는지가 심사 통과의 핵심 요건
- 한국 논문에서 좀 더 중요한 것은 'P값' (당신이 세웠던 가설이 정말 현실에 잘 적용되는가)
- 사회과학에서는 신뢰수준이 *<.05(95% 신뢰수준) 안으로 들어가면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봄
- "P값 혹은 별표가 붙으면 괜찮은 연구!"
(정리)
1. 지도교수님
2. 연구 설계의 논리성
3. P값
Q. 특출난 결론보다는 논리적 연계성과 일치성을 더 보는 것인가?
- 의미 있는 연구결과면 좋다.
- 의미 있다는 것이 남들이 하지 않았던 연구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첫 석사, 박사 논문에서는 획기적 이론을 발견해내는 것보다는 우리 교수님, 우리 선배들이 해왔던 연구를 얼마나 나의 상황에 맞게 확장시키느냐를 좀 더 보심
- 책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에 따라 논문을 쓰는 데 8주가 걸린다고 하면 연구 설계는 1주차에 이미 결정된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fr2_nxPPbNg
'영상 리뷰 > 공부·교육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원 논문, 엄청나게 빨리 쓸 수 있을까 (ft. 논준모연구소 김성하) (0) | 2023.01.12 |
---|---|
서울대 대학원생이 1년에 논문 6개 쓴 비법 (ft. 쭈슨생의 놀이교실 최지수) (0) | 2023.01.12 |
대학원 논문 표절을 방지하는 방법 (ft. 히든그레이스 TV 김성은 대표) (0) | 2023.01.12 |
전문상담교사는 꿀 빠는 직업인가 (ft. 반디심리연구소) (0) | 2023.01.09 |
초등교사 장단점 솔직 리뷰 (ft. 휴직교사 성공스텝)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