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의사결정
진로의사결정
진로상담의 ‘꽃’이자 궁극적 목표
진로이론에 있어서 가장 미시적 이론
직업선택이 내려지는 구체적인 과정, 선택에 영향 미치는 선행요소를 설명하는데 초점
연구동향 (연구물들의 흐름, 가설, 모형)
– 진로발달단계 속에서의 진로의사결정은 어떻게?
- 진로의사결정에서의 개인차는 있는지? (헤런? 의사결정평가척도)
- 일반적인 사람들이 의사결정하는 방법은? (의사결정은 합리적으로 해야 한다! 합리적으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직업발달이론
직업발달: 진로에서 개인이 나아갈 방향을 선택하고, 선택된 방향에 들어가서 잘 적응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자아의 발달! (자아개념 발달 = 직업발달)
= 직업정체감을 형성해 가는 연속적인 과정! (홀랜드의 직업정체성과는 다르다!!)
발달단계 = 의사결정 단계
연령에 관계없이 당면 문제의 성질에 따라 구분
의사결정에 기초한 직업의식 발달 설명
의사결정 단계 | 하위 단계 |
(결정 전) 예상기 | 탐색기 구체화기 선택기 명료화기 |
(결정 후) 적응기 | 순응기 개혁기 통합기 |
-> 진로상담의 핵심은 의사결정 방법을 배우는 일이다.
상담의 목표(시사점)
- 정보의 수집과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학습
- 의사결정과정은 학습과정
- 의사결정 과정과 전략을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
해런(Harren)의 진로의사결정 평가
의사결정 영향요인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자의 특징(자아개념, 의사결정유형)
발달과제
의사결정 조건(타인평가, 심리상태, 과제조건, 배경조건)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의사결정 이론에 기초한 의사결정 유형 측정
직업의사결정 체크리스트(1979) -> 진로의사결정 측정척도 -> 의사결정 유형척도(Buck, Daniels, 1985)
Krumboltz(크럼볼츠)와 Hamel(하멜)의 의사결정 7단계
문제정의 (Define the problem)
계획수립 (Establish an action plan)
가치명료화 (Clarify value) - 가치는 선택기준
대안모색 (Identify alternatives) - 대안이란 곧 ‘선택지’
결과예측 (Discover probable outcomes) - 대안을 선택했을 때와 아닐 때의 결과 예측
대안의 체계적 배제 (Eliminate alternatives systematically)
행동수행 (Start action)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1. 문제정의
2. 계획수립
3. 가치 명료화
4. 대안 모색
5. 결과 예측
6. 대안의 체계적 배제
7. 행동 수행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자동적 사고는 멈출 필요가 있다.(stop thinking) 생각을 끊어서 할 필요가 있다. 생각을 끊어서 하려면 적으면 된다.
인지심리, 경영학에서 의사결정에 관심 많이 둠.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요약]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0) | 2024.01.16 |
---|---|
의사결정전략 - 보상전략, 비보상전략(순차적 배제, 만족화) 내용 정리 (1) | 2024.01.15 |
Roe(로)의 욕구이론 - 직업분류 내용 정리 (0) | 2024.01.14 |
Gottfredson(갓프레드슨)의 제한타협모델 제한이론 타협이론 내용 정리 (0) | 2024.01.14 |
C-DAC(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and Counseling) 내용 정리 (0) | 2024.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