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인간관계·심리 영상 리뷰

인간중심상담의 성격 구조 (ft. 반디심리연구소)

by W.H. 2023. 11. 2.
반응형

성격구조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성격의 형성 과정이 인간관을 이뤄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인간중심상담에서는 성격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3가지를 설명해 드릴겁니다. 유기체, 현상학적 장, 자기(self)

 

 

반디심리연구소
반디심리연구소

 

 

유기체

유기체란 인간의 신체, 정서, 지식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개념이다. 따라서 인간은 어떤 자극을 받았을 때 총체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현상학적 장

현상학: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같은 현상이라도 개인마다 다르게 지각한다라는 개념이다.

현상학적 장: 인간중심상담에서는 객관적인 것은 없다고 본다. 사람마다 자기 나름대로 재구성된 현실에 반응하므로 동일한 사건을 경험한 후에도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니까 인간중심상담에서는 객관적으로 뭐가 맞고 틀린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걸 내담자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가 중요하다. 이렇게 현상학적 장은 개인이 받아들이는 지각이 중요하다.

 

 

자기(self)

나에 대한 일련의 의식과 가치

 

 

이렇게 유기체, 현상학적 장, 자기를 바탕으로 성격이 형성된다. 개개인마다 의식과 구조를 갖고 있다. 그걸 바탕으로 상황을 모두 다 다르게 느낀다. 그 과정에서 신체, 정서, 지식이 총체적으로 반응한다.

 

 

 

반응형

 

 

 

그렇다면 상담에서 해야 하는 게 뭘까?

하나밖에 없다. 내담자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이다. 인간중심상담은 잘 들어주는 것으로 장땡이다. 그런데 잘 들어준다는 게 너무너무 어렵다.

 

 

자기실현 경향성을 알아봐야 한다. 자기실현 경향성이란, “놔두면 잘 자란다는 개념. 스스로가 성장하고 자기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 살다가 고통받거나 성장을 방해하는 사건이 생기더라도 충분히 극복을 해낸다. 그 사람이 그 사람일 수 있도록 온전히 받아들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자기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파악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을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인간중심상담에서 추구하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건강한 성격이란 곧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근데 아무나 될 순 없다. 성인, 성자의 반열에 오른 사람이라야 가능하다고 흔히들 얘기한다. 우리는 평생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에 가까워지다가 생을 마감하게 된다고 로저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HCFop9XwTPo&list=PLArdL8v7vp1PDPe-ZQDMaXDgMdExfmWXm&index=10

인간중심상담의 성격 구조 (ft. 반디심리연구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