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과학고 - 서울대 - 대기업 - 의대생
41살 딸 출산
42살 수능 도전
43살 재수
44살 삼수 의대 합격
1994년 충남과학고 입학
고1때 처음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됐었음 (수능 초기세대)
수학, 과학을 취미처럼 좋아하는 학생이었음
친척, 지인중에도 이과출신이 많음
충남과학고 1회 졸업생
내신은 안 좋았음
내신이 대학 가는데 아무런 소용 없던 시절
카이스트 - 카이스트 시험만 잘 보면 됐고
일반대 - 수능 잘 보면 수능 점수로만 내신을 대신해 주던 시절
원래 꿈은 물리학자 (천체 물리학)
초등학생~고3까지 쭉 물리학자가 꿈이었음
예전에는 의대보다 물리학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음
수능 수석도 아마 물리학과 진학
99년도 첫 만점자도 물리학과 진학
영호님은 집안 반대가 심했음 (아버지: 기상학 교수) "자연과학은 배가 고프다. 돈을 잘 버는 직업을 선택해라."
서울대 물리학과 가겠다 vs 의대 가라
타협해서 서울대 전기공학부 진학
학과장님 얘기 듣고 학과가 싫어지기 시작
"당신들은 여기에 와서 사이언티스트가 될 게 아니다. 이론을 연구해서 완벽한 수식을 만들어 내는 게 아니라 당신들은 엔지니어다. 결과물이 좋아야 된다. 이거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우리 학과에 임해라"
예전에는 수능 석차가 성적표에 찍혀나왔는데 성적이 매우 높았음
1997년 수능은 역대급 불수능이었다고 함
400점 만점에 300점 정도만 맞아도 서울대나 의대를 갈 수 있는 정도
전국 1등이 370점 이상이었던 걸로 기억
영호님은 350점대(이과 기준 94등)
서울대 진학 후 사춘기 시작, 학점 0.01 (하나 D-, 나머지 F)
- PC방이 처음 생기던 시기
- '녹두거리'라고 하는 신림동 고시촌에 살았음
- 전국 최초의 PC방이 고시촌에 생김
- 전국 최초의 보드게임방도 그 고시촌에 생김
- 술도 엄청 먹고 게임도 엄청 함
- 게임을 최장 60시간 해본 적이 있음
- 별로 인기가 없는 게임이었는데 꽂혔음
복학 후에는 할 것도 없고 정신 차려야겠다는 느낌이 드니까 1년은 공부 열심히 하고
보드게임 사업 구상하다가 졸업할 때쯤 갑자기 아나운서를 해보자고 결심
졸업하고 아나운서 시험 떨어지고 나서 백수가 된다는 게 너무 무서웠음
부랴부랴 회사 알아봐서 취업하고 17년간 회사생활!
IT회사에 프로그래머로 입사해서 기획업무 하다가 재무쪽도 담당함
의대 진학 결정은 딸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딸이 대학 갈 쯤이면 은퇴할 시기, 은퇴하면 학비, 생활비를 금전적으로 지원해주기 어려울 수도 있겠다고 생각함
해결할 방법 2가지
1. 60살 은퇴하기 전에 큰 돈을 벌 수 있게 한 번 해보자 - 회사 내에서 임원 달고 큰 성공 하는 것 / 관련사업으로 성장하는 것
2. 60살 이후에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임원의 삶을 보니 너무 바빠보임
+ 애초에 미친듯이 노력하는 사람들 속에서 임원이 되기도 쉽지 않아서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생각함
성공확률도 쉽지 않은데 성공하더라도 가족과 멀어질 수 있다고 판단함
이직은? 기획 업무는 이직이 힘듦
해당 회사를 벗어나서 다른 회사로 가면 소용이 없다.
와이프와 고민하다가 수능 응시 도전!
2018년 아이가 태어난 해에 너무 바빠서 집에 못 들어간 적이 많음
2019년 3월에 수능 응시하기로 결심, 회사는 휴직
20수능: 실패
21수능: 실패
22수능: 성공
최초의 목표는 한의대였음.
예전에 비해 수능이 완전히 바뀜.
예전에는 사탐, 과탐 모든 과목 배워서 모든 과목이 다 수능에 나오는 시대였다가 지금은 다섯 과목만 공부하면 됨. 수학도 범위가 줄어듦.
대신 시간 안에 문제를 풀어내기가 어려웠음.
암기력은 크게 떨어지지 않았지만 문제 풀이 속도가 느려짐.
20수능 대비 9평에서 수학 가형 봤더니 백분위 74 나옴 -> 나형으로 전향 (한의대는 나형으로 갈 수 있음)
물1, 화1 선택 (아내는 생지 추천)
20수능 성적: 국어 백분위 94(2등급), 수학(나형) 만점, 과탐 백분위 82, 82(3등급)
21수능은 바뀐 형태에 적응을 못해서 불합격
20학년도와 21학년도 수능에서 수학에서의 가장 큰 차이: 킬러와 준킬러 사이의 변별력이 줄어들었다는 것
마지막 100일 남겨놓고 페이스 조절한다고 저녁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에 신경 썼던 것
그러다보니 준킬러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무뎌짐. 끝까지 계속 문제를 독하게 풀었어야 했다!
22수능 - 국어는 언매 선택, 수학은 기하 선택
- 선택 기준 1. 둘다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쪽! (푸는 속도가 느리니까 시간을 확보하자)
- 선택 기준 2. 공부량이 적은 것! (기하가 미적분보다 공부량이 압도적으로 적음)
22수능 성적:
국어 백분위 99%(1등급) - 4개 틀림
수학 백분위 98%(1등급)
영어 몇개 틀리고 1등급 - 3년 내내 EBS 주혜연샘 강의
화학1 백분위 78%(3등급)
지구과학1 백분위 100%(1등급)
학습법
[국어]
국어교육 전공한 와이프 추천 "마르고 닳도록"
이찬희 선생님의 지론 '수능 국어는 헤겔이 나오든 뭐가 나오든 철학 문제가 아니고 공학 문제가 아니고 국어 문제다'
- 이 얘기 듣고 문제에 대한 접근법이 완전히 바뀜
- 예전에는 지문을 이해하려 했음
- 근데 새로운 용어, 개념을 이해하지 말고 그 개념 간의 문장 안에서의 관계도를 그리고
- 선지에 있는 문장으로 바꿔서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을 함
- 비문학 지문 요약은 효과가 엄청남. 직장인들에게도 시키고 싶을 정도!
[수학]
모든 공부는 목차부터 봐야 한다.
전체 범위를 먼저 알아야 공부가 가벼워짐
새로운 문제라고 해도 '아 이게 여기 있던 건데 내가 그냥 못 푼 거구나'라고 알면 두려움이 좀 사라진다.
그래서 6평, 9평, 수능에 대해서는 각 목차, 유형별로 그걸 모아봄
그렇게 모으다보니 기존에 안 나왔던 패턴의 문제를 준킬러 같은 데다가 슥 찔러 넣은 다음에 그 문제의 반응이 괜찮으면 거기에다가 한 단계를 앞뒤로 붙여서 킬러로 바꿔서 낸다든지 하는 패턴이 보였음
6모, 9모는 정말 중요하다!
수학, 화학은 전과목 기출 분석을 다 함.
화학1은 보통 1등급이었는데 전략 실패
- 1. 졸릴까봐 점심 적게 먹고 시험 중간에 초콜릿으로 열량 보충하는 전략이었는데 감독관이 초콜릿 못 먹게 함
- 2. 시계 잘못봐서 멘탈이 나감
지구과학1은 만점!
마지막인데 시계를 잘못봐서, 초콜릿 하나 못 먹었다고 실패해서 가면 너무 미안할 것 같았음
지구과학은 무조건 다 맞아서 최선을 다했다는 소리는 들어야겠다 싶어서 죽기살기로 풀었음
나이 많은 신입생 생활 꿀팁
1. 물어보기 전에 라떼를 얘기하지 말자
2. 흰머리 염색 풀리는 것 경계
3. 옷도 최대한 젊어보이게
조선대는 탐구 한 과목을 빼줘서 유리했음
22수능 성적이 21수능 기준으로는 다른 의대도 합격권이긴 했지만 22수능에서는 (통합때문에) 이과생들이 전부 점수가 올라서 힘들었음
수험생들에게 한마디
: 그동안 참 고생이 많았다. 여러분들은 최선을 다 했고 그게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여기까지 달려온 본인 스스로를 조금 칭찬해줘도 될 것 같아요. 부족한 부분 이런 거 고민하지 말고 수능 당일날은 들어가서 그냥 내가 1년 동안 열심히 해온 것들을 그만큼 풀어 내놓고 온다는 차분한 마음으로 스스로를 격려하면서 수능에 임했으면 합니다. 여러분들은 정말 여기까지 온 것만으로도 이미 매우 훌륭하고 자랑스러운 학생이라고 얘기해주고 싶습니다.
영상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FuzKyIviezc
'영상 리뷰 > 공부·교육 영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 추천] 외국어를 배우는 3가지 방법 (ft. 유튜버 JM - 유제민) (0) | 2022.11.25 |
---|---|
JM(유제민)은 어떻게 4개국어를 하게 되었나? (ft. 유튜버 JM) (0) | 2022.11.25 |
공부를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ft. 조던 김장섭) (0) | 2022.07.18 |
가장 빠르게 등급이 올라가는 수학공부법 (ft. 연수남TV 연세대 수석 남자) (0) | 2022.07.15 |
연세대 공대 수석, 현직 전문의의 타이핑공부법 (ft. 연수남TV 연세대 수석 남자)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