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발달이론가 Super의 진로발달단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진로발달 단계
1) 성장기(~14세): 자아개념이 성장하는 시기 (중딩까지) 수퍼가 가장 강조한 시기!
2) 탐색기(~24세): 자아개념에 기초해서 직업 탐색하는 시기 (대딩까지)
3) 확립기(~44세): 자아개념에 기초해서 탐색하고 얻은 직장에서 자아개념에 맞는 일 하면서 삶과 관련된 자아개념을 확립하는 시기 (인생 중반까지)
4) 유지기(~65세): 자아개념을 유지해 나가는 시기 (인생 고참 시기)
5) 쇠퇴기(65세 이후): 직업 전선에서 은퇴하고 직업인으로서의 삶은 쇠퇴해가는 시기. 수퍼는 전 생애를 다뤘다. 에릭슨까지는 아니지만 많이 나눴다.
성장기(~14세)
가정과 학교에서 주요 인물과 동일시하며 발달시킨 자아개념과 연합된 흥미, 능력, 태도, 욕구발달이 특징
- 환상기(4-10세): 욕구가 지배적이며 환상적인 역할수행이 중시 (중국집아저씨, 문방구아저씨 등등... 하고싶으면 되고싶은 것) 환상으로 진로관련 자아개념 발달시키는 시기
흥미기(11-12세): 진로의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데 있어 아동의 흥미가 중시 (음악시간은 좋은데 체육시간 싫어. 게임은 좋은데 수학문제 싫어.) 흥미에 대한 개념이 자아개념에 들어오는 시기
능력기(13-14세): 진로선택에 있어 능력과 직업 훈련조건을 중시 (잘하고 못하고가 있다는걸 알게됨)
탐색기(~24세)
개인이 학교생활, 여가활동, 알바와 같은 활동을 통해 자아를 검증하고 역할을 수행하며 직업탐색 시도하는 단계
결정화, 잠정기(15-17세): (여기서의 결정은 소금‘결정’ 할 때의 그 결정!) 자신의 욕구 흥미 능력 가치와 취업기회 등을 고려하기 시작하며 잠정적으로 진로 선택! 개인 안에 뿌려져있던 자아개념들이 눈에 띄게 뭉태기로 보이기 시작함. ‘나는 다른 사람 돕는 일 하고싶어’, ‘심리에 대해 이해하는 일을 하고 싶어’
구체화, 전환기(18-21세): 장래 직업세계에 필요한 교육이나 훈련 받으며 자신의 자아개념을 확립하려 하며 현실적 요인 중시 (이게 나한테 맞나 안 맞나 검증해보는 시기)
실행, 시행기(22-24세):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선택하여 종사하기 시작
특성화고 친구들은 실행기(시행기)가 빠르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확립기(~44세)
개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분야 발견하여 종사하고 생활의 터전을 마련하려 노력하는 시기
수정기(25-30세): 자신이 선택한 일의 세계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 적합한 일을 발견할 때까지 한 두차례 변화를 시도
안정기(31-40세): 진로유형이 안정되는 시기. 개인은 그의 직업세계에서 안정과 만족감 소속감 지위 등을 얻게 됨.
유지기(~65세)
개인이 안정 속에서 비교적 만족스런 삶을 살아가는 시기. 유지, 개선(updating), 혁신
쇠퇴기(65세~)
개인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직업전선에서 은퇴하는 시기. 다른 새로운 역할과 활동을 탐색
※ 수퍼는 80년대 이론가이다보니 65세에 은퇴한다고 했는데 요즘은 45세에 은퇴한다. 사람마다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크게 보면 일치한다.(대순환) 그 속에서 약간씩 다른 것도 있긴 하다.(소순환)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ttfredson(갓프레드슨)의 제한타협모델 제한이론 타협이론 내용 정리 (0) | 2024.01.14 |
---|---|
C-DAC(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and Counseling) 내용 정리 (0) | 2024.01.13 |
직업적응이론(TWA) 내용 정리 (1) | 2024.01.13 |
진로발달이론 Super의 자기개념(자아개념) 정리 (0) | 2024.01.12 |
Holland(홀랜드)의 주요 개념(일관성, 변별성, 일치성), 이론에 대한 평가 (1) | 2024.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