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가족치료의 이해 3판(정문자, 장혜정, 이선혜, 전영주 공저, 학지사, 2023)
후기 가족치료
초기 가족치료가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로 함축되는 체계론적 관점을 기초로 발전되었다면 후기 가족치료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조 확산과 사회구성주의 및 후기구조주의에 기초해 발전하였다. 모더니즘이 절대적 진실과 객관적 지식, 그리고 본질주의, 보편주의, 이분법적 사고를 강조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당연시되고 있는 담론과 절대적 실재라는 아이디어에 전적으로 도전하며, 다양성과 차이를 강조한다. 사회구성주의는 실재란 개인이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언어를 통해 그 의미가 부여되고 공유된다고 가정한다.
푸코와 데리다
후기 구조주의는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구체화되었으며, 모든 현상에 심층적인 구조가 있고 또 구조는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구조주의 관점을 거부한다. 대신 우리가 절대시하는 지배적 담론은 정치적 권력의 산물로서 절대적인 지식이 아니며, 이러한 지식에 도전하고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다고 표방한다. 초기 가족치료가 가족 내 존재하는 성별 간 불평등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페미니즘의 비판 또한 후기 가족치료의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상생의 가족치료
가족치료 발달의 이 시점은 이미 발달된 가족치료 모델의 통합과 절충이 요구되는 울트라 모더니즘 시대이자 ‘상생의 가족치료’ 시기다. 즉, 내담자의 문제나 상황에 따라, 치료자의 선호에 따라 지금까지 발달된 가족치료 이론을 통합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시대다.
가족치료 모델
지금까지 발전된 가족치료 모델을 통합한 모델도 발전되고 있는데 통합적 문제중심 치료모델과 초월구조주의 모델이 두 가지 대표적인 통합적 접근이다. 궁극적 치료적 실재의 창조는 각 접근의 고유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맥락에 따라, 상황에 따라 치료자가 다양한 접근을 통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후기 가족치료자에게 요구되는 자질
현재 우리나라에서 후기 가족치료 모델을 선호하는 치료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가족치료의 다양한 모델을 실천하고자 하는 전문가가 증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추세이나, 벡바와 벡바(Becvar & Becvar, 2003)가 지적했듯이 후기 가족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가족치료 훈련만으로는 부족하며 철학, 인문학, 자연과학 등 통섭적 시각을 갖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훈련이 요구된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상담이론 요약 (0) | 2023.08.18 |
---|---|
제1장 “서구 가족치료의 발달” 요약 정리 (ft. 가족치료의 이해) (1) | 2023.08.17 |
제11장 “게슈탈트치료”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24 |
제13장 “실존주의적 상담”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23 |
제12장 “인간중심치료”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