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11장 “게슈탈트치료”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by W.H. 2023. 7. 24.
반응형

참고문헌: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2(노안영 저, 학지사, 2022)

 

상담심리학의-이론과-실제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게슈탈트치료 인간관

게슈탈트 치료자는 인간을 현상학적이며 실존적 존재로서 자신에게 가장 긴급하게 필요한 게슈탈트를 끊임없이 완성해 가며 살아가는 유기체로 본다. 펄스는 게슈탈트치료의 철학적 입장을 상태주의 + 자각이라고 하였다.

 

펄스

펄스는 유기체의 자각 혹은 알아차림을 통한 접촉 결여를 주요한 문제로 보았다. 그는 접촉에서 자각은 강렬하다.”고 하였다.

 

현재

게슈탈트 치료자는 경험하는 유기체에게 현재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현재만이 유일하게 중요한 시제다. 반면에 과거는 지나가 버렸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다.

 

반응형

 

 

 

자각

자각이란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고, 감지하고, 행동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상담자는 게슈탈트치료를 통해 내담자들이 경험하고 행동하는 것은 무엇이건 간에 타인에게 탓을 돌리지 않고 자신이 책임을 지도록 한다.

 

회피

미해결 과제나 표현되지 않은 정서가 지금 상황에서 지각되거나 다루어지지도 않는다면 그것들은 현재의 자각과 효과적인 기능을 계속 방해한다. 회피는 사람들이 미해결 과제를 직면한다거나 미해결 상황과 관련 있는 불편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방해하는 데 사용하는 수단이다.

 

신경증 층

심리적 성숙을 얻기 위해 다섯 가지 신경증 층인 허위 층, 공포 층, 난국 층, 내적 파열 층, 폭발 층을 벗겨야 한다.

 

접촉경계 장애

접촉경계의 장애가 우리의 성숙과 문제해결을 방해한다. 자각을 방해하는 접촉경계 장애기제는 프로이트가 제안한 개념은 방어기제와 유사하다. 접촉경계 장애의 주요한 기제로 내사, 투사, 반전, 융합, 편향 등이 있다.

 

목표

게슈탈트치료의 일차 목표는 내담자가 성숙하여 자신의 삶을 책임지고 접촉을 통해 게슈탈트를 완성하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표는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을 삶의 부분으로서 수용하고 처리하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게슈탈트 경험 순환

개인은 게슈탈트 형성과 해소의 순환을 되풀이한다. 우리의 유기체적인 삶은 이러한 끊임없는 과정인 게슈탈트 경험 순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법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담자의 자각 혹은 알아차림을 향상시키기 위해 언어표현 바꾸기, 신체행동을 통한 자각, 신체활동을 통한 자각확장, 책임지기, 대화하기, 환상기법, 역전기법, 꿈 작업 등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창조적으로 사용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