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경영·경제 영상 리뷰

부자들이 부자인 이유 (ft. 뉴욕주민)

by W.H. 2022. 12. 19.
반응형

뉴욕주민 - 부자들이 부자인 이유
뉴욕주민 - 부자들이 부자인 이유

 

Q. 나일악어로 만든 에르메스 가방 얼마할까요?
A. $35만 (약 4억 9천만원)

다이아 박힌 건 7억원...

불경기라고는 하지만 명품 소비는 역대급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

중간계층: 백화점, 옷, 가구, 컴퓨터, 전자기기 소비가 줄어듦

상위 1%가 세계 38%의 부를 차지하고 있음.
상위 10%가 전 세계 부 76%를 차지하고 있음.

평균이 사라진 시대
- 백화점 명품관 오픈런
- 로또 (불경기일수록 잘 팔린다는 로또)


애널리스트 Q. What's with the 'divorce' between global economic fundamentals and the resilience of the luxury industry?
루이비통 A. Luxury is not a proxy for the general economy, we end up selling to affluent people and they have behavior on their own, which is not aligned with economics.


람보르기니도 전년대비 매출, 영업이익 30% 증가

무적의 럭셔리 상품: 마진이 높고 가격 올려도 수요가 오히려 증가해서 언제든지 가격을 올릴 수 있음

부자를 대상으로 하는 명품 회사의 매출 증가가 보여주듯, 부자는 경기 불황과 별 상관 없이 소비를 많이 할 수 있다.


한편 저소득 지역일수록 로또 매점 많음

리테일 PB상품도 잘 팔린다. (뉴욕주민은 불경기랑 상관없이 항상 PB상품 집는다.)

상위 0.001%의 사람들이 세계 부의 6.4% 차지 >> 하위 50%의 사람들이 세계 부의 2% 차지


역사적 종결법: 혁명 / 전쟁 / 전염병 등

양극화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 같기도 하다.

 

영상 확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0rbwtrWIX-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