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경영·경제 영상 리뷰

고용보다 이게 더 문제! 테슬라 역사적 저평가 구간 (ft. 멘탈이 전부다 처리형)

by W.H. 2022. 12. 16.
반응형

멘탈이 전부다 처리형 - 고용보다 이게 더 문제! 테슬라 역사적 저평가 구간
멘탈이 전부다 처리형 - 고용보다 이게 더 문제! 테슬라 역사적 저평가 구간

 

어제까지의 상황
- CPI 7.7%에서 7.1%로 지난달대비 크게 하락하며 물가가 추세적으로 하락한다는 점 시사
- 23년말 예상 금리가 시장 기대 4.6%보다 높았다는 건 좋지 않았다. (5.1%)

실업수당 청구건수 결과 발표
- 시장에 우호적이지 않은 결과
- 9월 이후 최저치(21만 1천건) - 지난 주 23만 1천건보다 2만건 낮았음.

심지어 연속청구건수(Continuing jobless claims SA)도 거의 증가하지 않았음.
- 연속청구건수는 전체시장의 추세를 알려주기 때문에 중요!

고용이 나빠지지 않으면 금리 인하를 할 이유가 없다. 

시장 승률
CPI에서 1승 (물가 내려가고 있다)
FOMC에서 1패 (금리 높일 거다)
고용에서 1패 (아직 실업자 별로 없다)

관망하던 사람들 위험 회피로 급 쏠림

소매판매보고서도 악재로 작용함
11월 소매판매가 전년대비 6.5% 증가하긴 했지만 전월대비 0.6% 감소
11월에 블랙프라이데이가 있었다는 걸 감안하면 정말 많이 줄어든 것!

근데 경기 악재는 호재가 아니었나?
약경기 → 약물가 → 약금리

근데 이번에는 왜 악재가 진짜 악재가 되었을까?
이유는 물가와 금리에 대한 예측이 거의 끝났기 때문(추세가 확정적)
경기의 약세는 금리에는 더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업 수입 감소만 야기하게 될 것!
기업 수입이 감소하면 EPS가 하락하고 기업의 벨류에이션이 하락한다.

기업 수입 줄면 고용도 줄지 않을까?
맞다. 하지만 그건 어차피 한참 뒤의 일이다. 
23년 말~24년쯤 일어날 일!

대부분의 주식들이 폭락했는데 테슬라만 소폭 상승한 이유는?
- 머스크의 주식매도 발표의 영향 때문인 듯! 머스크가 그간 팔아재껴서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가격이 된 상황!

최근 한달간 나스닥이 5% 하락할 때 테슬라는 20% 빠졌다는 걸 보면 상대적으로 주가하락이 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테슬라의 가격은 성장가능성을 고려한 미래가치대비 극도로 낮은 편! 테슬라의 역사상 가장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거래되고 있음.

찰리 멍거가 한 말 "사람들은 좋아하는 주식의 주가가 오르면 기뻐하지만 나는 주가가 내릴 때 기뻐하며 더 적극적으로 산다."

영상 확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EzOA4f6KwaU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