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공부·교육 영상 리뷰

내가 대학을 가지 않은 이유 (ft. JM 유제민)

by W.H. 2020. 7. 15.
반응형

JM-유제민
JM 유제민

 

JM 유제민 형님이 대학을 가지 않은 이유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직무에서의 활용도

뉴욕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27%의 사람만이 대학교에서 전공한 것과 연관 있는 곳에서 일 함. 73%의 사람들은 전공과 관련 없는 일을 처음부터 배워서 하고 있는 것.

 

 

2. 기회비용

[시간]

대학 4~6년

[필요한 비용]

사교육비용, 학비, 친구랑 놀러다니는 유흥비, 혹시 학자금 대출이라도 받게 되면 사회에 진출할 때의 부담이 커짐

대학을 가지 않았으면 아낄 수 있는 시간, 돈을 건설적인 곳에 투자하면 엄청난 것을 만들어낼 수도 있음.

 

 

3. 실용성

중문과, 영문과, 일문과 나왔음에도 말 한마디 못 하거나 컴공과 나왔음에도 프로그램 못 짜고 컴퓨터도 잘 모르는 학생도 많음.

 

 

반응형

 

 

 

4. 가치관 또는 적성의 변화

어릴때 괜찮을 것 같아서 전공을 선택했는데 하다보니 적성에 안 맞는 경우에도 낭비가 됨. 

 

 

5. 대학에 가지 않아도 배울 수 있음

배우려는 의지만 있으면 손쉽게 배울 수 있는 시대가 왔음.

아이튠즈U 앱 : 전세계 명문대 교수님들 강의 무료로 올라와있음.

콜세라, 유데미, 린다닷컴(유료) : 양질의 강의 쏟아져나옴.

유튜브만 해도 컨텐츠가 쏟아짐. 근데 컨텐츠는 대부분 다 영어로 되어있음 = 영어 배워야 함

 

 

고졸로 살아가면서 불편한 점

1. 낯선 사람과의 첫만남에서 대학 얘기 나왔을 때 대학 안 갔다고 하면 한심하게 볼 때가 있음.

2. 입사할 때 상대적으로 합격하기 힘들 수 있음. - 자영업, 자격증 쪽으로 활용하면 괜찮음.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확고하고, 뚜렷하게 하고싶은게 있고, 고졸간판 달고서도 제대로 할 자신이 있다면 대학 안 가도 괜찮음.

"당신의 나이와 관계없이 배우기를 멈추는 사람은 늙었다." - JM

 

 

https://www.youtube.com/watch?v=SJ1pu8l9Y2U

JM - 대학가지 않은 이유 유튜브 영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