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과 지도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집단 구성의 필요조건
공동목표 – 집단원들과 공유해야 함
집단원들의 의욕과 참여
역동적 상호작용 – 이걸 하려면 초반에 활동을 해야 한다.
집단의 규준(규칙); 특정 행동의 제한, 시간 엄수, 타인 도움 등
자기지도(self-help)를 위한 능력; 집단지도자는 집단이 자기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곳이라는 걸 알려야 한다. self-help가 없으면 시간을 허비하는 것이다. 자기개방이 필수이다.
자기개방은 감정, 생각 드러내는 것이다. 꼭 모든 세부사항을 얘기하진 않아도 된다.
집단의 종류(Corey): 과업/과제집단 < 지도/심리교육집단 < 상담/성장집단 < 치료집단
오른쪽으로 갈수록 문제의 범위가 넓고 비구조화된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상담/성장집단, 치료집단이 집단상담답다고 본다. 심리교육집단, 과업집단은 그냥 교사도 어느정도 가능하다.
과업집단은 가장 기초적이고 짧다. 활동중심, 과업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집단의 종류(강진령): 과업집단 < 교육집단 < 상담집단 < 성장집단 < 치료집단
기타 집단의 종류
자조집단(self-help group) - 치료자 없이 내담자끼리 서로 돕는 형태. 치료자가 있을 때도 있다. AA(Alcoholic Anonymous), 성폭력 관련 등 다양
청소년집단, 아동집단 – 연령에 따라
구조화집단, 비구조화집단, 반구조화집단 - 구조화 여부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구체적인 활동, 계획,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개방집단, 폐쇄집단 – 개방집단은 우리나라에는 잘 없다. 장기간 진행하고 결원이 생기면 새로운 멤버를 투입하는 형태이다. 기존 멤버들의 텃세가 단점이 될 수 있다. 이별이 있으면 만남도 있다는 우리네 인생과 비슷하다. 폐쇄집단은 중도 탈락자가 생겨도 멤버 추가가 없다. 당장 상담을 받아야 할 내담자에게 기다리라고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집단의 장점 및 단점
장점 1. 효율성이 좋다. 여러명을 한 번에 상담할 수 있다.
장점 2. 적당한 긴장으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장점 3. 교감에 의한 승인; 너도 그랬구나. 그럴 수 있지.
장점 4. 꺼내놓기 쉽다. 다른 사람이 꺼내놓는 걸 보고 잘 꺼내놓을 수 있게 된다.
장점 5. 지지; 비슷한 집단원들로부터 받는 지지가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장점 6. 보편성; 모두가 다 문제가 있구나. 오나벽한 인간은 없다는 걸 아는 게 위안을 준다. 자기보다 살짝 더 나은 사람을 모델로 삼고 따라하기 쉽다.
장점 7. social microcosm(사회적 소우주);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사회의 축소판을 보여준다.
단점 1. 집중도가 떨어진다. ‘내가 참여 안 해도 굴러가네’
단점 2. 불안도가 높아진다. 피드백이 너무 쏟아져...
단점 3. 숨기 쉽다. 자기개방 안 해도 굴러간다.
단점 4. 비밀보장이 어렵다. 한계가 있다.
단점 5. 왕따를 당할 수 있다. 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구별되다보니...
단점 6. 이차적 보상; 위로, 의존욕구 채우고자 집단에 참여하게 된다. 친목도모나 팬심, 면허 반환을 위해 집단에 참여하는 경우가 생긴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상담의 목표, 주제, 진로성숙, 진로결정, 진로장벽 내용 정리 (0) | 2024.01.09 |
---|---|
진로상담의 정의 및 역사 (2) | 2024.01.09 |
집단상담과 지도 내용 정리 - 집단의 정의, 조건, 목표 (0) | 2024.01.08 |
진로상담의 필요성 및 정의 (1) | 2024.01.08 |
"집단상담의 종결 단계" 핵심 정리 (ft.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1) | 2024.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