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진로상담의 필요성 및 정의

by W.H. 2024. 1. 8.
반응형

진로상담의 필요성과 정의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진로상담의 필요성

1.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요 고민사항이다.

1985: 진로, 성적, 성격, 친구, 건강

1991: 성적, 진로, 성격, 이성, 친구

1992: 성적, 진로, 성격, 공부법, 용모/건강

1994: 성적, 진로, 친구/이성, 건강, 가정문제

2001: 진학/취업, 학업/성적, 이성, 성격, 적응

2. 변화하는 직업세계

안내양, 타자수, 활판인쇄원, 합성고무건조원 -> 워터소믈리에(수자원공사 소속, 고객 니즈에 맞는 물 감별하는 사람), 인터넷방송(크리에이터, 유튜버, 개인방송인), 로봇윤리학자

1940~1980년 없어지거나 생긴 직업의 수 = 1980~1990년 없어지거나 생긴 직업의 수: 생기고 사라지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고 있다.

변화하는 직업세계의 세 가지 키워드: 가속화, 전문화(직업에 귀천은 없지만 지위는 있다. 그런데 의사도 다 전문가인 게 아니라 전문의사가 있다. 달인이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그 사람이 그 일을 어떻게 하는지가 전문가 여부를 결정한다. 브래드피트의 결혼식에 꽃길을 깔아준 사람이 한국인이다. 그 때부터 플로리스트, 파티플래너라는 직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 꽃을 팔아도 그렇게 팔 수 있다. 무슨 일을 하느냐가 아니라 그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유연화(예전에는 80세 보험을 팔았지만 이제는 100세 보험을 판다.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노동인구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제 우리는 위아래를 다 봉양하면서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하는 세대이다. 직업을 평생 3~4번은 바꾸는 시대가 올 것이다.)

3. 일과 정신건강은 연관성이 높다.

Freud “정상인은 사랑하고, 일하는 사람이다.”

일 관련 10대 주요 질환 중 하나는 심리적 질환(NIOSH, 1999)

직장인의 89.3%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잡링크, 2005)

 

기업상담실 들어가면 대기업 수준으로 돈을 받을 수 있다. 기업상담실에서는 직장과 관련된 상담을 하기보다는 80%는 가정문제, 자식문제, 관계문제를 상담한다고 한다.

 

진로문제에 대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지도해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진로상담자가 필요하다.

직업, 진학뿐 아니라 인생 전반에 관한 어려움을 갖고 있는 내담자를 대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광범위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진로상담의 정의 - “진로관련 용어 정리

1. 진로(career) - career를 커리어 또는 경력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careercarrier와 어원이 같다.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필요한 것들을 담는다는 의미이다.

한 개인이 생애동안 일과 관련해서 경험하고 거쳐가는 모든 체험들

일을 통해 무엇인가를 축적해놓은 과거의 직업적 경력 + 생애 전 단계에서 쌓아가야 할 행로’; 그런데 진로에는 행로라는 개념밖에 안 들어있어서 부족하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2.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각 개인이 자기가 설정한 진로목표에 접근해가고 그 목표를 달성해가는 과정

청소년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서의 중요한 목표

cf. 직업(vocation; vocal의 어원을 가짐. 신의 목소리; 소명. 직업이란 곧 생계를 유지하는 수단()인 동시에 나인 것()이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개념이다.)

보수를 받는 것을 전제로 한 일, 개인이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제 및 사회활동의 종류(한국직업사전, 1996)

우리가 하는 상담은 vocational counseling이 아니라 career counseling이다.

3.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

상담자가 한다.

진로발달을 촉진시키거나 진로계획, 직업의 선택과 결정, 실천, 직업적응, 진로변경 등의 과정을 돕기 위한 활동

전문상담자와 개인 혹은 집단원 간의 형식적인 관계를 포함

cf. 진로지도(career guidance)

이끌어줄 수 있는 모든 사람이 다 할 수 있다.

사람들이 활동하는 생애 동안 그들의 진로발달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서 전문상담자나 교사 등과 같은 전문인이 여러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하는 활동들 (행할 수 있는 주체의 범위가 넓다)

cf. 진로교육(career education)

교육자가 한다.

개인의 진로선택, 적응, 발달에 초점을 둔 교육

개인이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를 인식 및 xkatrogk여 자신에게 적합한 일을 선택하고,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취학 전부터 시작하여 평생 동안 학교, 가정, 사회에서 가르치고, 지도하고, 도와주는 활동

진로상담, 진로지도, 진로교육 셋은 주체가 다르다. 어떤 세팅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차이가 있다. 하지만 커리어를 컨텐츠로 한다는 점은 공통점이다. 셋다 주체에 따라 질적인 차이는 있지만 누가 더 큰 범위인지는 서로 싸우는 주제다.

 

상담의 3요소: 상담자, 내담자, 상담관계(working alliance; 작업동맹)

 

cf.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

어떤 직업에 취업하기 위하여 준비하거나 현재의 직무를 유지, 개선하기 위한 형식 또는 비형식적 교육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은 매우 다르다. 컨텐츠가 다르다. 커리어는 잚의 전반적인 경험을 다루고 직업교육은 특정한 직업을 갖기 위한 교육이다. 의대, 사대, 교대에서 받는 교육은 직업교육이다. 어떤 직업에 입문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교육을 직업교육이라고 하므로 진로교육과는 다르다.

 

4. 직업상담(vocational counseling)

구직상담, 취업상담이 직업상담이다.

선택 가능한 직업의 결정, 각 직업의 조건들, 취업에 필요한 조건, 취업절차 등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취업을 돕는 활동들

cf. 진학상담

중등 교육현장에서 진행되는 진로상담의 한 부분으로 학교선택, 계열선택, 학과선택 등을 돕는 활동

국가자격증: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상담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자격증은 없다.) 범용성 있게 인정 받는 자격증이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심리상담사 1.

 

진로상담 > 직업상담 > 진학상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