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진로상담의 내용
진로상담의 목표 (모든 상담은 목표지향적인 활동이다.)
(진로 관련) 자신에 관한 보다 정확한 이해 증진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 형성
진로상담의 주제
개인의 이해
적성: 특정 과제/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수한 능력/잠재능력. 개인이 어떤 직업에서 얼마만큼 그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를 예측하게 해주는 요인 (능력)
흥미: 어떤 종류의 활동 또는 사물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나 주의를 갖게 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경향 (관심)
가치관: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선택이나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하는 원리나 믿음, 신념 (신념)
성격: 환경에 독자적으로 적응하도록 하게 하는 개인의 특성이나 행동양식의 통합체 – 심리검사의 80%가 성격검사, 20%는 지능검사이다.
2. 진로성숙
성숙도: 다음 단계로 이행하기 위한 준비의 정도
자기 이해와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기초로 진로를 계획,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있는 집단의 발달과업 수행 정도에서 차지하는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
3. 진로결정
- 진로결정은 OX의 문제가 아니라 정도(수준)의 문제이다. 사대/교대 갔어도 진로를 교사로 100% 정했다고 보는 건 영 아닌 그런 느낌. “어느 정도 결정했니?”의 개념으로 접근함.
진로미결정의 유형
진로결정상태와 관련된 변인들(불안, 진로정체감 등)
4. 진로장벽(career barrier)
개인의 진로선택, 목표, 포부, 동기 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역할행동을 방해할 것으로 지각되는 여러 부정적 사건이나 사태
유리천장(별이 보이지만 취할 순 없다), 인종차별(흑인이 상담을?)
시각장애인이 시각을 필요로 하는 일을 할 수 없는 것도 진로장벽의 예시
사회옹호(다문화상담에 뿌리를 두고 있는 개념): 사회를 바꾸는 것도 진로상담자의 역할이라고 보는 상담자들이 있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lland(홀랜드)의 인성이론 - RIASEC, 기본가정 (1) | 2024.01.10 |
---|---|
진로이론의 체제, 파슨스의 특성-요인이론 (1) | 2024.01.09 |
진로상담의 정의 및 역사 (2) | 2024.01.09 |
집단상담과 지도 정리 - 집단의 필요조건, 종류, 장점 및 단점 (0) | 2024.01.08 |
집단상담과 지도 내용 정리 - 집단의 정의, 조건, 목표 (0) | 2024.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