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사비카스 생애설계상담, 진로유형면접, 커리어오그램, 진로포부

by W.H. 2024. 1. 20.
반응형

사비카스의 생애설계상담 기본가정

생애설계상담(life-design counseling)에서는 생태적 맥락, 복합적 역동, 비선형적 인간관계, 다중적 실재, 역동적 모델링 등을 분석하고 극복해 나갈 지식과 기술의 생산이 상담에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특성과 상태라는 관점이 아니라 맥락의 관점으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능력이 변화되었는가

둘째, 처방이 아니라 과정의 관점으로: 너는 이런 유형이니까 이런 직업이 어울리겠어! 라는 처방의 의미가 아니라 함께 직업 찾아나가는 과정

셋째, 선형적 인과관계가 아니라 비선형적 역동성의 관점으로

넷째, 과학적 사실이 아니라 내러티브적 실재의 관점으로

다섯째, (내담자를) 기술하는 관점이 아니라 관찰하면서 배우는 관점

 

생애설계 상담

전생애적이고, 포괄적이고, 맥락적이고, 예방적인 접근. 개인적 수준에서 개인의 적응력, 내러티브 역량, 적극성, 의도성의 향상을 목표로. 궁극적으로 진로 관련 행동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진로를 만들어가는 주체가 되도록 조력.

 

 

전형적인 내러티브 상담의 과정이다.

 

상담전략

이야기하기(스토리텔링) - 대표적 전략

표준화검사의 사용이나 검사결과의 해석 최소화

직업적 성격 파악

직업적응도 프로파일 확인과 개입전략

생애주제 확인

성격유형과 생애주제 비교 등

 

 

반응형

 

 

 

적용의 실제 1. 진로유형 면접 (Career Style Interview -> Career Story Interview)

- 진로유형 면접은 내담자에게 하는 8개의 질문을 중심으로 하게 되는 구조화된 면접.

첫 번째 질문은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준비도 파악/상담의 목표설정을 하기 위한 질문(opening question)이고, 나머지 7개의 질문은 역할모델, 잡지/TV프로그램, /영화, 여가와 취미, 명언, 교과목, 생애초기기억 등으로 구성

요즘 애들은 잡지/TV 안 보기 때문에 유튜브나 게임을 물어보기도 한다.

생애초기기억 (아들러의 초기기억 회상과 같은 내용이다 - 생활양식 알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사비카스는 생애주제 알기 위한 것!)

 

 

적용의 실제 2. 커리어--그램(Career-O-Gram)

커리어 지노그램은 진로가계도! 커리어오그램은 오를 가지고 그램을 만드는 방식이다.

그램: 선과 도형으로 이루어져있는 순서도

전체 삶의 스토리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그림 그림. O를 가운데 중심으로 놓고 그림을 그림.

커리어오그램은 반드시 내담자와 같이 그려야 한다. 안 그럼 그릴 수가 없다.

 

커리오--그램은 가족치료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웬의 가계도에서 착안된 대화와 그림을 이용해 개인의 진로관련 역사를 파악해 나가는 방법.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질적인 방법으로 알아가는 절차

최초의 진로포부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어린 시절에 꿈꾸었던 것은? (최초의 꿈에 관한 질문)

2. 진로포부/선택의 역사

시간의 순서에 따라 진로와 관련된 개인의 역사 그려나감

3. 주제와 유형 찾기

진로의 역사에 대한 주제와 유형 알아보기

사회적 창조 측면 탐색

 

 

적용의 실제 3. 다양한 진로 활동

한국형 뱀사다리 게임, 학과카드, 직업카드 등

 

나의 하늘을 보아 - /

시 치료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방법 (진로저널 쓸 때도 활용한 시)

네를 내로 바꿔 다시 읽기 (수능 100일 앞둔 학생에 빙의해서)

가장 마음에 남아있는 시구를 밑줄 긋고 연결해서 글쓰기! ‘나는 뭘 이루고 싶어서 자꾸 쓰러질까?’

 

나의 직업정보수준 체크리스트 처음듣는생소한직업/직업명은 알지만 어떤 일을 하는지는 모른다/하는 일에 대해 간단히 설명 가능/관련학과, 임금, 전망, 되는 길 등 세부적인 직업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관련종사자와의 면담을 통해 알게 된 직업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 - 직업에 대해 아는 것도 이렇게 세분화 가능 (안다/모른다의 이분법적인 개념 아님)

 

 

사진치료

투사적 사진치료 기법 활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