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Holland(홀랜드)의 주요 개념(일관성, 변별성, 일치성), 이론에 대한 평가

by W.H. 2024. 1. 11.
반응형

홀랜드의 주요 개념과 이론에 대한 평가입니다.

 

Holland(홀랜드)의 주요 개념

계측성, 일관성, 변별성, 일치성, 정체성

계측성: (RIASEC) 유형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사성이 높다.

일관성: 일관, 지속의 의미가 있다. 코드가 나오기 때문에 생기는 개념이다. 하나만으로 분류하기 어려우니까 두 개의 코드를 부여했다.(미국은 3) 가장 높은 2개의 특성을 코드로 만들었는데 두 개 간에 인접해있으면 일관성이 이라고 보고 EA유형이면 일관성이 이다, EI유형이면 일관성이 . 일관성이 낮으면 옆에 있는 코드를 높여야 하나? 그건 어렵다. 일관성이 라고 해서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좋아하는 일과 직업이 다를 수도 있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일관도가 떨어질수록 하위영역을 잘 봐야 한다. 흥미와 가치는 변한다. 흥미는 더 빨리 변한다. 경험에 따라 그냥 바뀐다. 흥미검사는 발달기 아동이나 청소년 같은 경우에는 6개월에 한 번씩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직종에서는 상반된 특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중립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홍대 다니는 S코드인 사람은 S-R이 나타나서 고민을 토로하기도 한다.

변별성: 6가지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된다. 어떤 유형으로 변별되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홀랜드검사마다 변별도를 계산하는 방식이 다르다. 변별도가 어느정도인지가 크게 의미가 없기 때문에 변별성을 잘 보진 않는다. 변별성 보는 방법은 육각형 모형 보는 방법이다. 육각형이 크면 흥미가 큰 것이고 작으면 흥미가 별로 없는 것이다. 크기가 작은 애들은 크게 만드는게 상담의 목표이고 너무 큰 애들은 좁혀야 하는 게 목표이다. 뾰족한 사람이 변별성이 높은 사람이다.

일치성: (개인-환경) 일치성 (나는 S유형인데 교사이면 일치성이 높다. 나는 R유형인데 상담자면 일치성이 낮다.)

정체성(Holland가 강조한 개념): Holland는 사람들이 진로 관련 정체성을 확립하는 게 상담의 목표라고 봤다. 정체성이란 내가 나에 대해 갖는 일관된 느낌경계성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최악의 내담자(영화 <얼굴 없는 미녀>) Holland가 얘기하는 정체성은 내가 어떤 유형인지 알고 탐색할 수 있고 그 유형에 맞춰서 직업환경을 찾아갈 수 있도록 정체성을 확립한 사람들이라는 개념이다. 결국 홀랜드는 정체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다. 높은지 낮은지 아는법? 일관성, 변별성, 일치성 높으면 정체성이 높은 것이다. 일관성, 변별성, 일치성은 검사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검사 결과를 통해서 정체성을 알 수 있다. 일관성, 변별성, 일치성을 토대로 정체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이론에 대한 평가

장점: 직업선호도 검사 등 유용한 검사도구 개발 (홀랜드 SDS검사)

장점: 홀랜드 직업코드사전 제작

단점: 성격만을 편파적으로 강조

단점: 진로상담의 과정, 기법 부재

단점: 검사의 성별 차 문제 - S는 왠지 여자같고 R은 왠지 남자같다.

단점: 성격요인의 발달과정에 대한 설명 결여

단점: 개인과 환경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