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제6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by W.H. 2023. 7. 14.
반응형

참고문헌: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2(노안영 저, 학지사, 2022)

 

상담심리학의-이론과-실제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프로이트

프로이트는 인간을 생물학적 존재로 보고 본능이론에 기초해서 정신분석을 개발했다. 인간관은 결정론과 비관론이다.

 

성격 = 원초아, 자아, 초자아

성격은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성되어 있다. 원초아는 쾌락 원리에, 자아는 현실 원리에, 초자아는 도덕 원리에 의해 지배된다.

 

불안

성격의 세 가지 자아의 갈등은 불안을 야기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어두운 지하실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존재로 봤다. 불안에는 주로 자아와 관련된 현실적 불안, 초자아와 관련된 도덕적 불안, 원초아와 관련된 신경증적 불안이 있다.

 

방어기제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방어기제의 특성은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하고 무의식적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주요한 방어기제로는 억압, 합리화, 투사, 부정, 반동형성, 전위, 승화, 퇴행 등이 있다.

 

심리성적 발달단계

심리성적 발달단계는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신체 부위의 어디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다섯 단계인 구강기, 항문기, 성기기, 잠재기, 생식기로 구분된다. 가장 중요한 단계는 성기기이며 이 시기에 남자아이는 반대 성인 어머니에 대한 무의식적 욕망에서 비롯된 갈등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여자아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경험한다.

 

성기기

성기기 중에 남자아이는 거세불안을, 여자아이는 남근선망을 느낀다. 어린아이는 자신을 아버지나 어머니와 동일시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나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더불어 사회적 규범, 도덕적 실체라고 할 수 있는 부모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초자아를 형성한다.

 

무의식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자는 발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고고학자처럼 가장 깊숙이 감추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을 때까지 환자의 정신을 한 층 한 층 벗겨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반응형

 

 

정신분석의 목표

정신분석의 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을 야기하고 있는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의 목적을 세 가지로 요약해 보면, 첫째, 신경증적 고통을 수용할 수 있는 현실적 고통으로 바꾸고, 둘째, 원초아가 있었던 곳을 자아로 대체시켜 합리적 삶을 유지하고, 셋째, 정신건강을 회복시켜 사랑과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 과정

정신분석의 과정은 치료동맹, 훈습, 종결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내담자가 분석에 적절한 사람인가를 평가하여 치료계약을 맺고 전이관계를 형성할 때까지 치료의 초기 단계에 치료동맹이 형성된다. 훈습은 환자의 통찰을 변화로 이끄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을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정교하게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

 

주요 기법

정신분석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법으로 자유연상, 꿈 분석, 정화, 전이와 역전이, 저항, 해석 등이 있다.

 

전이

전이는 인생 초기의 의미 있는 대상(주로 부모)과의 관계에서 발생했으나 억압되어 무의식에 묻어 두었던 감정, 신념, 욕망을 자기도 모르게 치료자에게 표현하는 현상이다. 역전이는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일으키는 전이 현상이다.

 

저항

정신분석에서 저항의 해결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항은 변화보다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관성적인 힘이다. 저항의 중요한 이유는, 첫째,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고, 둘째, 무의식적 소원과 욕구의 충족을 계속 유지하고 싶어서이고, 셋째, 무의식적 갈등을 직시하는 것이 두려워서이다.

 

해석

해석은 내담자가 자유연상에서 보고한 자료, 꿈의 자료, 실언, 증상, 전이 등의 의미를 깨닫도록 하는 치료자의 시도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