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2판(노안영 저, 학지사, 2022)
상담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이론적 입장을 바탕으로 상담을 진행한다. 따라서 상담과정은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의 특징을 나타내며 상담자의 이론적 관점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건의 문제해결 모델
이건의 문제해결 모델은 크게 세 단계인 현재의 시나리오 원하는 시나리오, 행동전략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세 가지 하부 단계를 가진다. 현재의 시나리오의 세 가지 하부 단계는 이야기, 맹점, 다루어야 할 문제 또는 기회 선택이다. 원하는 시나리오의 세 가지 하부 단계는 보다 나은 미래의 가능성, 변화계획, 변화추구이다. 행동전략의 세 가지 하부 단계는 가능한 행동들, 최적의 전략선택, 계획 수립으로 구성된다.
공감지향 모델
공감지향 모델은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잘 제시해 주고 있다. 첫 단계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관심을 주면 내담자는 참여하기 시작한다. 둘째 단계에서 상담자는 적절한 반응을 통해 나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도록 한다. 셋째 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반응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도록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상담자는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하도록 주도해서 내담자가 실행하도록 한다.
중심과제지향 모델
중심과제지향 모델은 여섯 단계로 되어 있으며, 동양의 유도와 노자사상의 원리를 바탕으로 상담자가 상담과정의 단계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한 중심과제에 초점을 맞춰 자연스럽게 상담과정을 진행할 것을 강조한다.
접수면접
상담을 원하는 내담자와 첫 만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접수면접이다. 상담자가 접수면접에서 파악하는 주요한 정보는 내담자에 대한 기본정보, 외모 및 행동, 호소문제, 현재 및 최근의 주요 기능상태 등이다.
과제형성 단계
관계형성 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털어놓을 수 있는 신뢰 관계를 쌓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 단계에서 내담자의 주요한 행동 특징은 수동적이며 상담자에게 많이 의존하는 수동적 역할이다. 내담자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털어놓게 되고 상담자가 그러한 문제를 빨리 해결해 주었으면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를 조력하기 위해 전적으로 그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상담자는 신뢰에 기초한 관계형성을 위해 개방적이며 정직한 태도로 임해야 한다.
탐색 단계
탐색 단계의 주요한 특징은 내담자의 자각 확장이다. 탐색의 주체적 역할을 하는 것은 내담자이다. 내담자는 자기노출과 자기탐색을 증가함으로써 이전에는 알아채지 못했던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알게 된다. 상담자의 주요한 역할은 내담자가 자기탐색을 확장하도록 촉진하는 반응을 하는 것이다.
이해 단계
이해 단계에서 내담자는 자기탐색을 통한 자각을 통해 문제의 본질에 대한 통찰과 이해를 한다. 내담자는 전체적 조망에 의한 통찰을 한다. 상담자의 주요한 역할은 정확하게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실행 단계
실행 단계의 핵심은 문제해결을 위한 실행이다. 내담자는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실행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하도록 실행할 것을 촉진한다.
종결
종결은 상담과정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설정한 상담목표가 만족스럽게 달성됐다는 상호동의가 이루어졌을 때 일어난다. 내담자는 상담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과 평가를 하면서 자신의 변화를 발견한다. 상담자의 중요한 역할은 내담자가 설정한 상담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공부내용 정리 > 상담사 시험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상담기술 적용에 따른 고려사항”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14 |
---|---|
제4장 “상담자의 반응기술”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14 |
제1장 “상담의 이해” 요약 정리 (ft.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7.13 |
화이트, 엡스턴의 이야기치료 이론 요약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7.08 |
드세이저, 인수킴버그의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요약 (ft. 가족치료의 이해) (0) | 2023.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