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의 도입배경
1. 과학기술의 발달로 학생들에게 단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이 아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 창의성, 융합적 사고력 등이 요구됨
2. 고교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제기
- 정부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교육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개척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고교 교육과정 운영 전반을 개선하고 고교교육의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학점제 도입을 추진중
고교학점제 소개
1. 고교학점제의 개념
- 적성과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과정 이수 운영 제도
2. 고교학점제의 목표
- 학생들의 다양성을 최대한 존중하고 학생 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실현함으로써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체제를 마련하는 것
3. 고교학점제의 운영절차
- 1단계: 학점기반의 교육과정 편성
- 2단계: 수강신청
- 3단계: 수업진행
- 4단계: 수업에 대한 평가
- 5단계: 평가 결과에 따라 이수 여부 결정
4. 고교학점제에 적합한 학교 환경 조성
- 학습 공간의 유연성 확보
- 지원 공간의 복합성 확보
- 공용공간의 활용성 확보
- 동선의 효율화
학교 현장의 도입
1. 고교학점제에 따른 주요 변화
- 학생: 진로개척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어 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자
- 교원: 학생의 성장을 돕고 학습에 대해 지도하고 조언하는 교수학습 전문가
- 교육과정: 학생의 진로, 적성, 흥미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2. 고교학점제를 위한 준비
-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운영
-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내실화
- 교원 전문성 강화 및 역할 변화 대비
-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 학생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학교 문화 조성
참고문헌
- 교육부(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보도자료
- 교육부(2018).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안 보도자료
-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20). 고교학점제 학교환경 조성 운영 안내서
- 교육부(2018) 2018년 고교학점제 연구 선도학교 1년차 성과발표회 개최 보도자료
- 황은희 외(2020). 고교학점제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한 실천 전략 연구
'공부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hion: 가산명사로 쓰일 때와 불가산명사로 쓰일 때의 차이점 (0) | 2023.11.17 |
---|---|
핀테크의 정의, 주요 특징 및 이점 (1) | 2023.07.19 |
영어 회화공부 누적 (ft. 네이버 영어사전) (0) | 2022.12.12 |
일본어 회화공부 누적 (ft. 네이버 일본어사전) (0) | 2022.12.12 |
댓글